d라이브러리
"사실"(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 싹을 동물의 병든 간 주변에 이식하면 혈관이 연결되면서 실제로 간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용 쥐를 이용해 증명했다. ‘바이오 프린팅’ 기술도 완벽한 인공장기를 만들 수 있는 후보 기술로 꼽힌다. 3D프린터로 살아있는 세포를 원하는 형태로 찍어 장기 모습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미국 ... ...
- [Culture] 우리 개가 자꾸 똥을 먹어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정상행동”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똥이 맛있어서 먹는다?하지만 하트 박사가 주장한 사실에는 중요한 전제가 있습니다. ‘건강한 개’가 보이는 식분증이라는 점입니다. 간혹 몸에 이상이 있어 식분증을 보이는 개들도 있기 때문입니다. 식욕을 증가시키는 내분비계 질환이나 내부기생충 감염증,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8년에는 수장고를 직접 방문할 수 있는 체험 기회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날 처음 알게 된 사실이지만, 보존된 부재는 건축물을 보수하는 과정에 실제로 재사용되기도 한다. 목조건축물은 보통 30~50년 주기로 수리가 반복되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만 보물급 이상 건축물의 해체수리 작업이 20건 가량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과학자들은 완전히 죽지 않은 세포(undead cells)의 주변 세포 수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완전히 죽지않은 세포가 세포 분열을 지시하는 단백질을 만들어 분비했고, 이에 주변 세포들이 반응해 분열을 거듭했던 겁니다. 실제로 발달 중인 초파리에 방사능을 쪼이면 많은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때 배운 기초가 아주 중요하고, 기초가 탄탄해야 새로운 내용을 이해하기 쉽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오 씨는 연구가 좋아서 KAIST에 진학했다. 서울대와 KAIST 중 어느 대학으로 진학할지 한차례 고민했지만, 학부생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갖춘 KAIST에 끌렸다 ... ...
- Part 3. 역사의 흐름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나타났다 사라진 소행성 세레스의 궤도를 계산합니다. 소행성은 타원 궤도로 운동한다는 사실과 실제로 움직임을 관찰한 결과를 이용해 세레스의 움직임을 묘사하는 방정식을 만들었고, 덕분에 세레스가 언제 어디서 다시 나타날지 정확하게 예측했죠. 소행성처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움직이는 ... ...
- 위대한 수학자의 발자국, 괴팅겐을 걷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레이저가 고장 나 수리 중이었다고 하네요. 이 레이저는 사실 가우스와 깊은 관련이 있어요. 가우스가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 에두아르트 베버와 함께 만든 전신의 원리가 담긴 레이저거든요. 전신은 전류나 전파로 만든 신호로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방법 중 ... ...
-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만든 대상을 말한다. 지원하는 악기에서도 더뮤지션이 음악성에 초점을 맞췄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선택할 수 있는 악기가 10가지로 다양하다. 크게는 피아노와 드럼, 기타 세 가지로 나뉘는데, 세부 종목은 그랜드피아노와 일렉트릭피아노, 어쿠스틱기타 등이다. 버스커 모드도 눈에 띈다. 이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하얀 눈밭에서 춤을 추는 두루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두루미를 30년 동안 관찰한 결과, 두루미의 소리와 몸짓 언어의 종류가 60가지 이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지요. 몸짓 언어는 마주보며 고개 숙이기, 높이뛰기, 달리기, 날개 퍼덕이기 등 다양한 동작으로 이뤄져 있어요. 멀리서 보면 마치 춤을 추는 것 같지요. 두루미는 국제적인 희귀종으로, ... ...
- [과학뉴스] 조선 밤하늘 9일간 붉게 물들인 오로라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등 고문서 111건을 분석한 결과, 붉은 오로라가 1770년 9월 10일부터 9일간 나타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남반구 티모르섬에서 오로라를 봤다는 독일 천문학자의 기록도 찾았다.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동시에 오로라를 관측한 최초의 기록이다. 하야카와 교수는 “태양 흑점 개수나 오로라 발생 기간 ... ...
이전3023033043053063073083093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