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몸풀기 게임 진실 혹은 거짓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지구의 야간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어요. 이에 중국 하얼빈공학대학교 강 웨이민 교수는 “노을빛 정도의 부드러운 빛이기 때문에 생태계에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답니다. ● 답 : 모두 진실 ... ...
- Part 5. 우리은하 - 미지의 세계를 향해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태양계 근처를 지나치는 한 무리의 별을 발견했어요. 그리고 최근 스페인 사라고사대학교 오헤어 박사팀이 역주행하는 별무리 속에 많은 양의 암흑물질이 섞여 있을 거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답니다. 오헤어 박사는 이 현상에 ‘암흑물질 허리케인’이라는 이름을 붙였지요. 암흑물질 허리케인은 ... ...
- Part 2. 변신 2 - 사람을 살린다! 의료용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면역 거부 반응이 줄어든다는 것도 확인했답니다. ● 인터뷰 - 박정규(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 단장)내년 상반기, 사람에게 돼지의 췌도 이식하는 게 목표예요! 2004년부터 우리나라 과학자들도 돼지의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하기 위해 활발히 연구하고 ... ...
- [이투스 입시정보] 의예과, 인간 생명의 존엄과 건강한 삶의 가치 존중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의예과인간 생명의 존엄과 건강한 삶의 가치 존중 의업에 종사할 허락을 받음에 나의 생애를 인류 봉사에 받칠 것임을 엄숙히 선서하노라.나는 인종, 종교, 국적, 사회적 지위를 ... > 바로가기 - 서울대 의예과 > 자세히 보기 - 연세대 의예과 > 자세히 보기 - 고려대 의과대학 > 자세히 ... ...
- Intro. 라이트 형제도 깜짝 놀란 드론 택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안녕, 친구들! 난 오빌 라이트라고 해. 1903년 세계 최초로 동력 비행에 성공한 라이트 형제 중 동생이지. 12월 17일, 115주년을 맞아 소환됐는데…. 으악! 그런데 저게 뭐야? 희한하게 생긴 기계가 날고 있잖아. 115년 동안 엄청나게 많은 일이 벌어진 게 분명하군! 어떻게 된 일인지 직접 알아봐야겠어. ... ...
- Part 3. 3시간 만에 뉴욕으로 초음속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이야~. 현대의 비행기를 타면 10시간 만에 서울에서 미국까지 갈 수 있다고?! 정말 놀랍군! 그런데 이 속도로도 아직 만족할 수 없어서 소리보다 더 빠르게 나는 비행기를 만들고 있다고?! 소닉붐을 극복하라 흔히 엄청나게 빠른 비행기를 ‘초음속 비행기’라고 해요. 초음속은 소리가 전파되는 ... ...
- [가상인터뷰] 웜뱃의 주사위 모양 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인간들에게 신선한 재미를 주고 있나 봐. 웜뱃 똥의 비밀을 밝혀낸 미국 조지아공과대학 패트리샤 양 박사는 “자연에서 이렇게 별난 것은 본 적이 없다”며 “육면체를 만들기 위해 거푸집을 이용하거나 잘라내는 방식 이외에 세 번째 방법을 알게 된 것”이라고 말했단다 ... ...
- Part 2. 열기구에서 이온비행기까지, 비행기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11월 엔진과 프로펠러 없이도 날 수 있는 비행기가 개발됐어요.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스티븐 바레트 교수팀이 이온풍으로 나는 ‘이온풍 추진 비행기’를 만든 거예요. 연구진은 글라이더 모양의 비행기를 만들고, 날개 아래쪽에 비행기를 지탱하는 뼈대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뼈대의 ... ...
- Part 4. 기사가 필요 없다 자율비행 택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20년 쯤에는 자율비행 택시 서비스가 시작될 것으로 기대된답니다. ● 인터뷰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문형필 교수 "자율비행의 핵심은 센서랍니다!" Q 자율비행 드론에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자율비행 하는 비행기는 센서 기술이 매우 중요해요. 비행하면서 실시간으로 환경을 ...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공기가 밀려들어올 때 소리가 난다”고 주장했어요. 반면 2018년에는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연구팀이 손가락의 움직임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해 “활액 속 기포에서 공기가 빠질 때 소리가 난다”고 반대 의견을 펼쳤답니다. 앞으로 어떤 주장이 또 등장할지 기대되지 않나요?(*활액 : 관절 ... ...
이전3023033043053063073083093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