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뉴스
"
자연
"(으)로 총 4,826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망토에 한걸음 더...'거울 대칭' 금 나노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19
펩타이드가 무기물의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왔다”며 “이런 원리를 생체 모방해
자연
계에 존재하나 인공적으로 만들 수 없었던 새로운 구조의 무기 나노결정을 세계 최초로 합성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편광을 이용해 제어하는 광소자나 곤충 표면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것과 비슷한 ... ...
사람 장 속에만?...식물에도 마이크로바이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8
식물 주변 토양의 마이크로바이옴은 회복성이 매우 높다는 얘기다. 실험실 환경이 아닌
자연
상태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을 연구해야 하는 이유다. 이 연구는 농사에 쓰이는 항균 펩타이드가 유익한 박테리아를 함께 죽일 수 있다는 우려를 덜어주는 결과로도 풀이된다. ... ...
썩는데 수백년 걸리는 플라스틱, 며칠 만에 분해하는 효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18
화합물로 바뀌었다. 이 미생물이 이런 효소를 가진 것은 식물이 잎 등을 보호하기 위해
자연
적으로 지니고 있는 폴리에스터(PET가 포함된 플라스틱의 일종) 성분을 분해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이 밝힌 페테이스의 3차원 구조. - 사진 제공 남플로리다대 맥기한 교수팀은 영국에 있는 ... ...
[과학사진관] 내 마음의 어딘 듯 한편에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6
과학의 눈으로 본 인간의 감정은 어떤 모습일까요? 연구자들이 실험실에서 만난
자연
의 속살에서 만남, 눈물, 추억 등 인간의 감성을 포착했습니다. 해당 작품은 IBS(기초과학연구원) 연구자들의 작품입니다. 연구자들이 실험실에서 몰두하던 중 나온 결과물들을 사진 작품으로 새롭게 탄생시킨 ... ...
금강에 사는 민물고기 ‘종어’에 사례금 30만원 걸린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04.16
“국립수산과학원에서 방류한 종어보다 작고 어린 종어가 발견됐다는 것은
자연
상태에서 재생산이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라며 “금강에서 종어 자원회복이 빠른 시간 내에 이뤄질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꿈의 소재’ 그래핀으로 만든 초고강도 고성능 케이블
동아사이언스
l
2018.04.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하 KIST) 양자응용복합소재연구센터 배수강 박사팀은 서울대
자연
과학대학 화학부 및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홍병희 교수팀, 벤처기업 그래핀스퀘어와 함께 초고강도 및 고성능 전선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이 전선 재료로 사용한 것은 그래핀이다. 그래핀은 ... ...
남자와 여자의 차이
팝뉴스
l
2018.04.13
석양을 촬영한 여성의 모습을 촬영하고 있다. 남자들에게는 인간 여성이 그 어떤
자연
의 아름다움보다 절실한(?) 것이다. 사진 촬영 현장에서 우연히 포착된 이 사진은 코미디의 자료일 뿐아니라 심리학적 자료로서도 가치를 가질 것 같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 ...
[과학사진관] 별이 반짝이는 밤하늘은 늘 나를 꿈꾸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2
과학의 눈으로 본 인간의 감정은 어떤 모습일까요? 연구자들이 실험실에서 만난
자연
의 속살에서 만남, 눈물, 추억 등 인간의 감성을 포착했습니다. 해당 작품은 IBS(기초과학연구원) 연구자들의 작품입니다. 연구자들이 실험실에서 몰두하던 중 나온 결과물들을 사진 작품으로 새롭게 탄생시킨 ... ...
용암이 만든 절경....유네스코 세계유산 ‘자이언트 코스웨이’은 어떻게 생겨났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4.12
약 4만 개의 주상절리대가 8km에 걸쳐 형성돼 있다. 주상절리대 하나만으로 유네스코 세계
자연
유산으로 승인된 곳은 이 곳뿐이다. 자이언트 코스웨이와 같은 주상절리대가 여행가나 문학가들의 마음만 사로잡았던 것은 아니다. 화산학자와 지질학자 등 많은 과학자가 주상절리대의 형성 과정을 ... ...
[2018년 필즈상] 환호와 충격 안긴 연구로 후보에 오른 게오르디 윌리엄슨 교수
수학동아
l
2018.04.12
선형결합으로 만들어진 다항식의 계수는 나누기로 인해 보통 정수가 아닌데, 이게
자연
수라는건 매우 특이한 일”이라면서, “이럴 경우 수학자는 다항식의 계수가 특정한 조합적 대상을 센 것이라고 추측하기 때문에 윌리엄슨 교수의 연구는 표현론을 넘어 조합론과 대수기하학에까지 영향을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