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시황무덤에서 히틀러 벙커까지 미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성인들은 미로에 얽힌 철학에 많은 흥미를 가진다. 미로는 한
편
으로 ‘복잡한 길을 따라가는 인생’을 상징한다. 아이들이 열광하는 것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 ...
미시세계의 생명력 마이크로코스모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마이크로 하우스’를 읽어 본 독자라면 ‘마이크로코스모스’가 이 책의 ‘자연’
편
임을 간파할 것이다. 만약 자신의 주변에는 징그러운 곤충들과 박테리아들이 보이지 않는다고 안심하고 있는 친구가 있다면 반드시 권해야 할 도서다.이렇듯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미시세계는 종종 우리가 ... ...
Ⅰ. 전자가 이룩한 4대 혁명 : 3. 세계최고 수준의 전자공장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증명한 획기적인 업적이다.한
편
수직입사분광기 빔라인은 방사광의 파장이 가장 긴
편
에 속하므로 기체상태의 시료를 주로 연구한다. 이 빔라인에서 수행된 실험 중 가장 인상적인 것은 CFC대체할 물질을 개발하려면 최종적으로 성층권의 환경에서 오존과 반응하는 성질이 없다는 것이 검증돼야 ... ...
새로운 차원의 오락 온라인 게임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도구를 통해 다른 사람을 만난다’라는 철학 때문인지 게임의 생명력이 상당히 긴
편
이다.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혼자 즐기는 독립형게임의 라이프사이클을 6개월, 온라인게임은 최소한 2년 이상으로 보고 있다. 미국의 PC통신인 아메리카온라인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네버윈터 나잇’은 9 ... ...
2. 서비스로봇 빅4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로봇은 나름대로 고유한 분야가 있지만, 서비스 로봇에 비하면 상당히 규격화돼 있는
편
이다. 이에 반해 서비스 로봇은 서비스의 종류 만큼이나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이에 따라 외형 및 특성도 서로 다를 수밖에 없다.물론 아직까지 서비스 로봇은 산업용 로봇과 같은 시장 규모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 ...
Ⅰ. 현지취재, 미국 라인연구센터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8주간 진행돼 온 여름학기프로그램 참가자들은 다른 것보다 이 기계에 쉽게 적응하는
편
이다.이틀 간의 취재일정을 끝낼 시간이 다가왔다. 문 밖에서 마지막 인사를 나눌 때 지붕에서는 여름에 닥친 허리케인으로 망가진부위를 공사하느라 시끌했다. 브로튼 소장이 멋적은 듯 어깨를 으쓱대며 밝게 ... ...
하늘에서 전기를 사용해요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좋은 배터리라도 사용시간이 2-3시간을 넘지 못한다.미국 델타 항공사에서는 보잉767
편
의 1등석에 전기콘센트를 부착했다. 비행기에서 이 전기를 사용하려면 따로 접속케이블이 필요한데, 노트북판매점이나 전기부품상점에서 구입이 가능하다.이 케이블은 15V 직류로 공급되는 전력을 휴대용 ... ...
명상하면 머리 좋아진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15분 정도 읽는데, 이때 한 호흡에 한줄씩 읽어나간다. 이후 간단한 몸동작을 거치고 가장
편
안한 자세로 앉아 하루의 생활을 반성하는 시간을 가진다.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은 이 수련을 1년 정도 거친 경험자들이었다.또하나의 논문은 “뇌파조절효과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다. ... ...
체중감소는 치매 징조일 수도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증세의 하나일 것”이라고 진단했다.그러나 원인에 대해서는 설명이 구구하다. 한
편
으로는 환자가 병 초기 단계에 후각을 상실해 식욕감퇴를 낳는 것이 아니냐는 설명이 있다. 환자들의 신진대사율이 정상인보다 빠르다는 지적도 있다. 음식을 섭취했을 때 몸에 축적되지 않고 빨리 배출된다는 ... ...
4. 유전자 맹신론을 경계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대한 논의에 눌려서인지 유전자조작 등 유전공학에 대한 이야기가 상대적으로 뜸한
편
이지만, 유전공학 쪽이 장기적으로 봐서 인류사회와 전 지구에 미칠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생각된다. 그것은 유전공학혁명이 인간만이 아니라 모든 생물체의 존재 질서에 심대하면서도 거의 영구적인 변화를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