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육면체로 쪼개지는 방상(方狀)절리가 있다중력을 전달한다고 믿어지는 소립자 '디락'의
이론
으로 존재가 예측되었지만 아직 검출되지 않았다컴퓨터가 외부의 신(scene)을 직접 보아 그것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종합기술 인공지능 응용분야 중의 하나중국 은나라때 점치는 데 사용했던 거북껍질이나 ... ...
뇌 영상의 마법사 MRI 고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입자성이 강력하게 부각됐다. 음극선의 입자성 발견은 20세기에 들어와서 상대성
이론
이 출현되는 계기를 마련해 줬다.X선의 본성에 대한 논쟁을 통해 파동과 입자의 이중성이라는 빛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나타났다. 빛에 대한 이중성 개념은 양자역학이 성립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했다. 또한 방사선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정설로 받아들여지면서 교과서에도 실렸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순차적인 세포내공생
이론
’이란 무엇인가.지구상에 생명이 출현한 이래 10억년이 넘는 기간 동안 생명체는 모두 오늘날의 세균처럼 세포핵이 없는 원핵세포였다. 마굴리스는 이런 세포들이 서로 공생관계를 이루면서 오늘날과 같은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212 고대그리스의 과학자 · 수학자 · 기술자 시칠리아 섬 시라쿠사 출신 아르키메데스는
이론
과 실제의 결합이야말로 과학을 향상시킨다고 생각한 고대에서는 보기드문 과학자이며 그는 저서《방법》에서 그 연구방법까지 자세히 설명했다 아르키메데스가 고안했다는 양수장치(揚水裝置) ... ...
2 새로운 초전도체 존재 예측 혼돈의 초유체 원리 밝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없어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올해 공동 수상자 레깃 박사는 1970년대 He3 초유체에 관한
이론
적 토대를 마련한 인물이다. He₃ 초유체는 He₄에 비해 1/1천 정도 더 낮은 온도에서 발견되며, 이 역시 He₃ 원자 두개가 쿠퍼쌍을 이루며 형성된다. 많은 학자들은 초유체를 현대 과학의 난제인 ‘정돈된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1988년 봄 유고슬라비아의 두브로브니크에서 열린 과학철학 학술대회에서 ‘온생명’
이론
을 발표해 학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생명의 단위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시한 것이었다. 의존적 생명의 단위인 ‘낱생명’과 달리 자족적인 생명의 단위로 태양과 지구를 포함하는 ‘온생명’ 개념을 ... ...
아인슈타인 우주로의 시간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과학
이론
에 대한 적극적인 탐구를 이끌어낼 것이기 때문이다.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이 위대한 것은 그가 모든 우주에 대해 완전한 답을 제시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 답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기 때문이라는 말이 있다. 즉 아인슈타인의 뒤를 이어 시간여행을 현실의 일로 만드는 것은 ... ...
자동 주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쌍곡선기하학에 따르고, 일반상대성
이론
에서는 리만기하학에 따르지만 통일장
이론
에서는 여러 가지 새로운 기하학적 성질을 부여하여 그 기하학적 관계에 의해 물리적인 힘의 장의 성질을 해명하려고 시도하는 연구 분야이다지구 전체적인 규모로 지구 표면에 연속되어 있는 균열(龜裂) 대서양을 ... ...
최첨단 비행체 시뮬레이션이 탄생시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하늘을 이동하는 비행체를 연구하는 일 역시 쉽지 않다.유체 방정식 풀리지 않아이처럼
이론
적인 연구가 어렵다보니 하늘에서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는 최적의 비행체를 설계하려면 풍동실험을 할 수밖에 없다. 풍동실험은 조그만 비행 모형체를 만들어 여기에 인위적으로 바람을 일으켰을 때 어떤 ... ...
4 인간 감성 충족시키는 생각하는 기계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1900년대에 들면서 이런 논리학을 한층 발전시켜 형식언어나 오토메타 등과 같은 계산
이론
의 연구가 진행돼 오늘날의 컴퓨터를 만드는 토대를 이뤘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독립적인 연구분야로 빛을 본 것은 1956년 매카시(J. McCarthy)와 민스키(M. Minsky), 사이먼(H. Simon), 뉴엘(A. Newell) 등의 학자들이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