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논을 질퍽하게 만들었다. 김 실장은 “일본과
우리나라
는 흙의 성질이 다르다”며 “
우리나라
의 흙은 물과 흙이 더 잘 섞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만약 그 이유를 좀더 정확히 설명할 수 있다면 겨울철 둠벙에 물을 받거나 나아가 논에 물대기를 해서 농촌 생태계를 살리는 방법은 찾을 수 있을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동쪽으로는 오스트리아 등 여러 나라에 둘러싸여 있어 바다가 없다. 그런데 올 여름,
우리나라
여수에서 열리는 ‘바다엑스포’에 스위스가 참가한다고 한다. 어떤 사연이 있는 걸까.대서양은 알프스에서 시작한다?!“(퍽, 퍽)…. 걷기가 너무 힘들어요. 근데 이 눈 너무 맛있지 않아요?”한국에서는 ... ...
스펙! 차곡차곡 쌓아보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중학교 단계에서 학습의 획기적 진전이 없다면 올림피아드를 포기하는 것도 전략이다.
우리나라
학제와 교육과정에서는 중학생 단계에서 올림피아드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선행·심화학습으로 학생의 능력을 검증해보고, 올림피아드 수상권에 들 수 있다면 본격적으로 준비를 하도록 ... ...
전열기와 워렌 버핏의 공통점은?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과 비교한 국가경쟁력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
의 양극화가 심각하다는 내용이 담겼다. *지니계수는 30개국 중 20위에 그쳤고, 빈곤율을 34개국 중 6번째였다. 사회복지 지출은 34개국 중 33위였다. 따라서 이런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 ...
러시아 어선 구한 아라온호는 남극 산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크리스마스에
우리나라
의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어려움에 처한 러시아 어선을 구했어요. 러시아의 스파르타호는 고기잡이에 나섰다가 빙산에 부딪혔답니다. 그 바람에 배가 기울고 고장 나, 오도 가도 못하는 어려움에 처했죠. 아라온호는 뉴질랜드에서 남극 탐사를 준비하던 중 스파르타호의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지나 유럽으로 향했다. 동쪽으로 향한 인류는 인도와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를 거쳐
우리나라
로 왔다. 이 인류가 나중에 알래스카를 통해 북아메리카로 건너가 아메리카 원주민이 됐다. 동남아시아에서 남쪽으로 향한 인류는 호주로 건너갔다. 일부 인류는 북쪽 내륙을 거쳐서 동쪽으로 갔다.인류 ... ...
원유 유출사고 4년, 주민 건강 ‘빨간불’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007년 12월 일어난
우리나라
최악의 기름 유출사고 ‘허베이 스피리트 호 사고’로 피해를 입은 충남 태안군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중장기 건강 역학조사 결과 일부가 처음 공개됐다. 주민들은 환경 오염에 따른 건강 피해를 나타내는 지표가 다른 지역보다 높았으며, 일부는 공단이나 폐금속광산 ... ...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통해
우리나라
의 토종공룡인 부경고사우루스와 해남이크누스가 소개되었다. 이들은
우리나라
의 지명을 딴 최초의 공룡이다. 하지만 아직 발자국 화석과 뼈 몇 조각으로만 그 이름이 붙어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 제대로 된 골격 화석이 발견되기를 많은 학자들이 바라고 있다.그러던 차에 기쁜 ... ...
겨울의 DMZ에서 독수리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총 248km에 이르는 거리에 남북한의 군사분계선이 설치돼 있다. 이 분계선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와 북한이 각각 2km씩 땅을 내놓경기관광공사아 군사적 완충지역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가 바로 DMZ(비무장지대)다. 50년 간 사람의 출입이 통제되는 바람에 생물다양성이 보존되어 있다. 이곳에 살고 있는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포스텍이 없어지는 데 대한 걱정이다. 수능점수 커트라인으로 상위권 대학을 구분짓는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나올 법한 우려였다.그러나 포스텍의 판단은 결과적으로 옳았다. 세계 최고수준의 연구중심대학으로 지향점을 실현시켜 줄 주인공들이 바로 포스텍에 꿈을 품고 들어오는 인재들이다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