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해
검토
해석
평가
코프롤라이트
비교분석
비교
d라이브러리
"
분석
"(으)로 총 8,04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있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가 또다시 흔들! 2016 대지진 긴급
분석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 ... ...
[특별 이벤트] 수학자를 이겨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시작했고, 찾아낸 암호를 해결해 나갔어요.김종락 교수는 수학자답게 암호를 논리적으로
분석
하고 하나 둘씩 나타나는 증거를 활용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어요. 두 독자는 여기저기서 빠르게 단서를 찾고 엉뚱할지라도 기발한 아이디어를 내는 모습을 보여줬지요. 나중에는 옷장에 걸려있는 옷의 ... ...
[수학동아클리닉] 한 눈에 알아보는 비율그래프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정보를 ‘자료’라고 합니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려면 자료를 수집해 분류,
분석
해야 합니다. 자료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은 통계에 꼭 필요합니다.전체 자료가 너무 많아 수로 나타내는 것이 번거로울 때는 전체에 대한 비율로 자료를 나타내는 것이 좋습니다. 전체에 대한 부분의 양의 비율을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이를 수행할 연구자들을 모집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한국에서는 이와 취재팀의 논문
분석
결과 흥미로웠던 사례는 외부 연구비 없이 연구한 경우다. 초고해상도 현미경을 개발한 공로로 2014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에릭 베치그 박사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당시 ... ...
Intro. 지구가 또다시 흔들! 2016 대지진 긴급
분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분석
해 봤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가 또다시 흔들! 2016 대지진 긴급
분석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 ... ...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바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가 또다시 흔들! 2016 대지진 긴급
분석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 ... ...
[수학뉴스] 온라인 게임하면 수학 성적 오른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과학 성적은 무려 17점이나 높았습니다.연구팀은 SNS와 수학 성적 간의 상관관계도
분석
했습니다. 그 결과 매일 SNS를 이용한 학생은 전혀 하지 않은 학생과 비교해 볼 때 수학 성적이 20점 낮았습니다.연구에 참여한 앨버트 포소 로열멜버른공과대 경제학과 교수는 “그날 배운 학과 지식을 이용해 ... ...
[수학뉴스] 수학자 족보가 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나무르대 복잡계센터의 플로리아나 가르기울로 박사는 이 수학자 족보의 데이터를
분석
했습니다. 족보의 정보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해 족보의 데이터와 위키피디아, 학자들의 온라인 프로필을 일일이 대조했습니다.그 결과 지금까지 살았던 수학자의 2/3는 크게 24개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했다. 최영준 기자와 우아영 기자가 연구비 지원 형태, 연구자의 공동저자 네트워크를
분석
해 봤다. 또 수상자를 많이 배출한 영국과 독일 연구소를 직접 찾아가고, 정책 연구자와 노벨상 수상자들을 탐문해 대안을 물어봤다.결과? 성급함부터 버리자. 결과에 대한 목마름을 넣어두자. 어차피 우리는 ... ...
[과학뉴스] 책을 펼치지 않고도 읽는 ‘독책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20페이지 중에서 9페이지에 적힌 문자를 식별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오래된 서적들을
분석
하고 보존할 때 이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헤쉬멧 연구원은 “보관 중인 고서적에 손을 대지 않고 내용을 알아내고 싶다며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이 기술에 큰 관심을 보였다”고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