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시야를 보려고 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한쪽 두정엽이 손상된 경우는 손상된 쪽의
반대
시야를 의식하지 못해 그쪽에는 마치 사물들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생각한다. 즉 후두-두정엽 영역은 우리가 특정한 위치에 주의를 기울여 정보를 선택하고 의식하게 하는 것이다.두정엽과 달리 측두엽에 ... ...
과학으로 승부한다, 아디다스 원 넘버 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케이블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케이블이 늘어나면 플라스틱 쿠션이 느슨해지고,
반대
로 짧아지면 그만큼 딱딱해진다. 예를 들어 잔디밭을 달릴 때보다 아스팔트 도로를 달릴 때 플라스틱 쿠션은 더 부드러워진다.그렇다면 아디다스 1이 쿠션의 상태를 결정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나 ... ...
갈색구름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에어로졸의 효과가 기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혹은 이와 정
반대
로 온실기체가 지구의 온도를 높이는 효과를 상쇄할 수 있을 만큼 그 영향이 클 수도 있다. 안타깝게도 아직까지 이에 대해서 어떤 결론도 내릴 수 없다. 현재로서는 갈색구름에 대해서 알고 있는 내용이 매우 ... ...
동굴 탐험가 어둥굴차스키의 실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않는다. 특히 물체가 볼록 렌즈에서 멀어질수록 물체는 거꾸로 보인다. 따라서 인형이
반대
쪽에서 들어오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물컵을 놓고 연필 따위로 실험을 해 보자. 물컵에서 가까이 대 보기도 하고 멀리대 보면서 연필이 어떻게 보이는지 알아보자. 두 번째 문제의 답거울에 비친 모습을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말했다. 모유를 짜내는 젖소 등 동물에서 의약품을 만드는 연구가 일부 환경단체의
반대
및 동물과 인간간 질병 전염 문제 등으로 다소 주춤하면서 많은 과학자들이 식물공장에 눈을 돌리고 있다.산삼도 공장에서 찍어내듯 대량 생산한다. 충북대 벤처기업인 CBN바이오텍은 2년전부터 100년 묵은 ... ...
나만의 전속 영양사 - 유전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최적화하는 개인별 맞춤형 식사 처방이 가능해진다. 이와
반대
로 ‘영양유전학’은 영양소가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건강기능식품의 체내 작용기전을 규명하고 유전적 배경에 따른 식품의 판매대상자를 선별하는데 응용할 수 있다.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 ... ...
철학 잘 해야 행복한 과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극단에 서 있는 사람들에게도 과학은 필요하다. 환경주의자 중에는 과학을 무조건
반대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에게 성경처럼 통하는 책이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이다. 환경주의자들은 이 책을 내밀며 “봐라, 농약 때문에 개구리와 새가 죽지 않았느냐”고 한다. 심지어 “과학이 ... ...
예쁜 수컷, 강한 암컷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현대사회에서 남성이나 여성이 화려한 명품으로 자신을 치장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반대
로 암컷이 잘 눈에 띄지 않는 색깔인 이유는 수컷에게 그런 구애를 할 필요가 없고 알을 품을 때 육식 동물로부터 피하기 위해서다. 화려한 수컷새조차 암컷이 자신의 알을 품을 때는 잘 가까이 가지 않는 ... ...
나노 세계의 마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펼치는 멋진 신세계나노 기술이 쓰이는 분야는 정말 다양해요. 크기는 작아지지만
반대
로 기억 용량은 커지는 차세대 반도체와 전지의 개발, 인체의 모세혈관 속을 잠수함처럼 돌아다니며 질병을 치료해 줄 수 있는 나노로봇을 비롯하여 우리 친구들이 좋아하는 TV와 컴퓨터 등 나노 기술이 쓰이지 ... ...
무중력에선 이끼도 나선을 그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것.지구상에서 이끼는 빛이 오는 방향을 향해 자라거나 어두운 곳에서는 중력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자란다. 당시 연구를 수행했던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식물생물학자 프래드 색 교수는 “빛과 중력의 영향이 사라졌을 때 나타나는 나선형이 원래 이끼의 성장패턴이었을 것”이라며 “식물이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