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칙 · 책임 · 화합으로 키우는 과학영재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우리학교는 교사가 최선을 다해 학생을 가르쳐야 한다는 원칙과 한번 맡은 학생을
끝
까지 지도한다는 책임, 그리고 정직한 평가를 통해 얻어진 화합이 있는 학교”라고 말하며 “교사를 존경하는 학생과 학생을 사랑하는 교사가 있어 우리의 미래는 든든하다”고 말했다 ... ...
한반도 가뭄의 숨겨진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도롱뇽과 개구리들도 메마른 계곡 바닥에서 집단 폐사했다. ‘홍수
끝
은 있지만 가뭄
끝
은 없다’는 말이 실감난다.왜 이렇게 비가 안 온 걸까. 빈번한 가뭄 발생이 혹시 이상기후의 징조는 아닐까. 가뭄 원인의 새로운 가능성, 에어로졸과학자들은 한반도의 가뭄을 특별한 기상 현상이 아닌 ... ...
제26회 기상사진전 수상작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것 같은 여름날 저녁. 사진을 찍은 인경호 씨는 거대한 번개가 내리치는 순간을 가지
끝
까지 포착해 그야말로 ‘번개를 잡았다’.우수상덕유산의 브로켄유지훈 (2008년 8월 24일)브로켄은 안개 낀 산에서 태양을 등지고 섰을 때 맞은편 안개에서 자신의 그림자와 함께 그 주변에 무지개가 보이는 ... ...
우리 문화유산 속 아름다움, 금강비례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뻗은 다음 컴퍼스 중심을 배꼽에 맞추고 원을 그리면 두 팔의 손가락
끝
과 두 발의
끝
에 접한다... 정사각형으로도 된다. 발바닥에서 정수리까지 길이는 두 팔을 가로 벌린 너비와 같기 때문이다.”현대 건축의 아버지인 르 코르뷔지에는 파르테논 신전과 인체에서 황금비례를 찾았다. 인체에서 ... ...
뇌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학습과 기억의 비밀을 풀어낼 수 있는 단서를 발견했다. 그는 바다달팽이의 꼬리
끝
에 약한 전기 자극을 반복했을 때 얼마 후 시냅스의 길이가 늘어난 것을 확인했다. 캔들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의 학습과 기억은 뉴런들의 일정한 연결방식에 의해 일어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러한 캔들의 ... ...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보면 계면활성제에 둘러싸인 미세한 기름방울이 퍼져 있는 모습이 보인다.이제 설거지도
끝
났다. 시계를 보니 막 자정이 지났다. 바로 자면 소화가 안 될 테니 한 시간 정도는 뭘 해야 할 텐데…. TV를 다시 켜기도 그렇고 보고서를 들여다볼 마음도 생기지 않는다. 그러고 보니 오늘 라면을 끓여 먹은 ... ...
암흑에 묻힌 도시를 가동하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에너지로 전환하는 모든 과정이 원활히 이뤄지려면 환경공학자와 관련된 연구자들의
끝
없는 노력이 필요하다.이와 함께 개개인은 한정된 자원을 아끼고 재활용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사회 구성원 모두가 관심을 갖고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할 때 진정한 리사이클링시티가 건설될 ... ...
이 시대의 교양인을 위한 생생 물리학 강의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예술을 폭넓게 접해 충분히 사색한다면 물리학을 공부할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끝
으로 최 교수는 “이 책이 독자들이 물리학에 흥미를 갖고 합리적으로 생각하는 데 작은 도움이라도 되길 바란다”며 “모든 독자가 물리학을 통해 자연을 새롭게 이해하고 삶의 의미를 찾는 즐거움을 누리길 ... ...
소백산천문대에서 펼쳐진 2박 3일 상상력의 향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학생이 알 수 없는 감흥을 받고 특정 천체를 관측하고 싶은 생각에 사로잡힌다. 고생
끝
에 초신성 폭발의 흔적을 발견한 주인공은 이 초신성에 대한 기록이 조선시대 한 천문학자의 죽음과 관련돼 있음을 알고, 여기에 얽힌 비밀을 파헤친다는 스토리다.김보영 작가는 “과학적인 사실이 스토리 ... ...
“작지만 강한 대학 GIST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하려면 지금 인원의 2배는 돼야죠.”광주과학기술원 선우중호 원장은 10여 년의 노력
끝
에 학사과정을 개설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GIST는 1993년 정부가 광주에 설립한 이공계 연구중심 대학원인데, 지난해 정부로부터 학사과정 개설을 승인받아 2010학년도 입시부터 학부생을 모집한다.국내에서 1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