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로 향한 차세대 항공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20년 계획으로 미국의 NASP개념과 유사한 우주항공기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현재 일본
국립
항공우주연구소의 연구원 중 거의 절반이 우주항공기 관련 연구에 종사하고 있으며 이미 우주항공기의 개념설계와 기본형상(마하 7, 2인승 극초음속 연구기)을 발표했다. 90년대 말에 연구기를 시험 비행시킬 ... ...
노화보다는 질병이 뇌기능 퇴화 가져와 몸은 늙어도 두뇌는 젊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노화현상에 의한 것이라고 믿었던 뇌의 변화가 질병에 의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국립
노화연구소의 진 코헨박사의 말이다.노화연구소에서 행해온 실험 중 하나는 1958년에 시작됐으며 지금은 20세에서 97세에 이르기까지 2천명의 사람들이 관찰되고 있다. 이 사람들 중 70대의 노인들은 연구원들이 ... ...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건조된 조사선으로 전문적인 조사선들보다 규모가 크다. 따라서 이 조사선은 각국의
국립
해양연구기관이나 대학에서 운영하면서 국책연구나 정밀조사에 폭넓게 이용된다.우리나라의 경우 한국해양연구소가 보유한 반월호(80t급)와 한국동력자원연구소의 탐해호(1백80t급)가 해양조사 목적으로 ... ...
첨단장비로 범죄와 싸운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가 나오지 않아 연구원들의 육안으로도 판별해낼 수 있다고 한다. 전문인력 아직 부족
국립
과학수사연구소는 첨단장비와 전문인력을 동원해 '범죄와의 전쟁'의 첨병역할을 하고 있지만 아직 만족할 만한 수준에 와있지 못하다고 관계자들은 말한다. 가장 큰 이유는 장비와 인원의 부족. 아쉬운대로 ... ...
지역주민 과학교실 되는
국립
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작년 10월9일 대덕연구단지내에 새로 문을 연
국립
중앙과학관이 상시(常時)과학행사를 꾸준히 개최해 지역주민의 살아있는 과학교실로 자리잡아 가 ... 주말을 이용하면 과학관 관람과 강연회 참여를 겸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알아보려면
국립
과학관 조성과로 문의하면 된다. (042)861-2526, 254 ... ...
동물도 좌절하면 스트레스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장기간 갇힌 상태가 되면 '정상'이 아닌 상태가 된다는 것은 분명해보인다. 프랑스
국립
농업연구소의 신경생리학자인 로버트 단처같은 이는 가축들이 빗장 물어뜯기같은 비정상적인 행동을 수시간씩 할 동안엔 뇌에서의 신경기능이 마비된다고 주장한다.동물이 인간처럼 '지루함'이나 '좌절감'을 ... ...
슈퍼컴퓨터 시장 쟁탈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대형연구소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한편 이와 때를 같이해 미국 로스알라모스
국립
연구소는 각 슈퍼컴퓨터 성능을 비교, 주목을 끌고 있다. 크레이리서치의 C-90과 일본전기(NEC)의 SX-3, 후지쓰의 VP-2600 등 3개사의 슈퍼컴퓨터에 15가지 시험문제를 내 시험한 결과 C-90이 SX-3보다는 11가지, VP-260 ... ...
톱 쿼크 좇는 슈퍼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물리학자들은 스스로 알맞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미국
국립
페르미 연구소의 물리학자들은 최근 자신들이 만드는 새로운 컴퓨터에 들어갈 부품을 마지막으로 시험하고 있다. 이 부품은 세계에서 계산속도가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의 기본 구성단위가 될 것이다.MAPS 즉 ... ...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처음으로 핼리의 모습을 찍기 위해 28박29일의 대장정을 시도하기도 했다. 그 결과
국립
천문대(현재 천문우주과학 연구소)의 공인을 받아 최초 사진의 기록을 남겼고, 그 이후 핼리의 현란한 자태를 1백60여장의 사진에 기록하는 정열을 과시했다."오리온성운 사진만 1천여장을 찍었지만 아직도 맘에 ... ...
과학용어 통일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다른 분야에서 달리 쓰이고있는 용어의 조정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최근에 새로 발족한
국립
국어연구원도 이 문제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협조해야 할 것이다.대체로 용어 제정에는 순수과학이 응용과학보다 적극적이었다. 순수과학에서 우리말에 바뀐 용어가 응용과학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