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모의 우주선, 257일 만에 화성 착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격리생활을 하며 지냈다. 참여한 우주인은 총 6명으로 러시아, 유럽, 중국 국적을 가진
공학
자, 의사, 물리학자들로 구성됐다. 이들 6명 중 3명이 2월 8일 화성 궤도에 도착해 착륙선에 옮겨 타 화성으로 내려갔다. 이들 가운데 2명이 화성 땅을 밟고 먼저 탐사에 들어간 것이 2월 14일이다.우주인들은 ... ...
‘아바타’ 정말로 만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사람에게도 나타난다는 사실이 실험으로 증명됐다. 스위스 로잔공대의 신경학 및 뇌
공학
연구팀은 2월 17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과학진흥협회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이 대학 올라프 블랑케 교수팀은 실험 참가자에게 3차원 가상현실이 나오는 고글을 씌우고 카메라 앞에 세웠다.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키워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영진 책임연구원은 독일 칼스루에 공대에서 전파
공학
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원래 자동차 충돌방지용 레이더를 공부했지만 한국전기연구원에 온 뒤 무선전력전송을 연구하고 있다. 아직 개척 중인 분야라 힘든 부분이 많지만, 기술이 시연되는 순간이 가장 ... ...
차세대 전자부품 초박막 반도체를 칠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같은 소재라도 물성을 전혀 다르게 만들 수 있습니다.”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
공학
부 플렉시블(flexible) 전기전자 소재/소자 연구실의 고흥조 교수는 지금의 연구 방향과 다른 접근법을 택했다. 많은 과학자들이 구부러지는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신소재를 찾고 있을 때 고 교수팀은 기존 ... ...
융합이 빚어낸 작지만 큰 세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융합과 협업이 강조되지만 MEMS에서는 특히 더 강조된다. 연구실이 속한 서울대 전기
공학
부는 MEMS 개발을 위해 현직 안과 전문의를 교수로 초빙한 바 있다. 또 융합과 협업의 과정에서 자연스레 리더십의 중요성을 알게 된다.“리더는 단순히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공헌해야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기술을 국산화하려는 연구가 있어 황당맨이 방문했다. 박기환 광주과학기술원 정보기전
공학
부 교수는 실내 환경에 적합하고 가격이 저렴한 지능로봇 항법용 라이다를 독자 개발했다. 박 교수는 “특히 장거리용 레이저거리 측정기는 국방과도 관련돼 있어 기술을 이전해 주지 않는다”며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안정화 기간을 거친다. 일종의 ‘약식 폐기물 처리장’인 셈이다. 박창근 관동대 토27목
공학
과 교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아닌 일반 비닐을 쓴 경우도 있다”며 “이런 경우 작은 돌조각에도 비닐이 쉽게 찢어져 침출수가 새어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환경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가장 많이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기계장치의 부품을 빌려서 만든 것과 마찬가지”라며 “인공근육이 실용화된다면 로봇
공학
은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 봤습니다.사실 ‘인공근육’이라는 개념은 꽤 오래전부터 있었습니다. 과학자들은 로봇이 아니라 사람의 몸에 이식할 목적으로 이런 인공근육을 꾸준히 연구해 ... ...
슈퍼 농작물 개발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밝혀내 SF소설에 등장하던 ‘슈퍼 농작물’ 개발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건국대 생명
공학
과 임준 교수(사진)팀은 미국 듀크대 타이핑선 교수팀과 공동으로 식물 성장호르몬인 ‘지베렐린’이 어떻게 세포 내에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지, 어떻게 뿌리에 신호를 전달하는지 분자수준에서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접어들면 건강한 집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전망이다. 김태성 경희대 생태의
공학
과 교수는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는 스마트홈을 지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평소와 다름없이 부엌에 들어간 사람이 느닷없이 바닥에 쓰러져 몇 분이 지나도 일어서지 않을 경우, 소프트웨어가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