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3,421건 검색되었습니다.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06
연구에 대한 무한정의 지원공세다. 바닷물보다 8배나 짠물에서 사는 박테리아의
유전
자를 분리해 이용할 계획으로 추진되고 있는 이 연구는 당장 돈이 되는 연구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일본정부의 지원은 아낌이 없다.기초과학에 대한 일본의 적극적인 투자는 응용기술의 한계를 체험했기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06
반도체공정이나 생물공학 환경화공 심지어 자동화에 관계되는 연구는 각각 컴퓨터공학
유전
공학 환경공학 메카트로닉스 등 타 학문과의 관계 속에서 생겨났다.이러한 학제간 연구의 강조는 앞으로의 과학기술자들이 가져야할 몇가지 자세를 제기한다.우선 학생시절 특히 학부과정에서는 전공에만 ... ...
좁혀지는 인간과 침팬지의 사이
과학동아
l
199105
유전
인자와 그토록 유사하다면 왜 서로는 그리도 다를까? 다름아니라, 인간의 전체
유전
정보량은 두꺼운 백과사전 1천여권과 같다. 침팬지가 인간과 1%만 다를지라도 이는 우리의 것과 비교하여 다른 정보가 10여권의 백과사전 분량에 해당한다는 뜻이 된다. 이 정도라면 침팬지를 인간으로부터 다른 ... ...
1만가지의 냄새를 어떻게 식별하나?
과학동아
l
199105
고 악셀박사는 얘기한다. 이
유전
자들은 냄새
유전
자군(群)에 속해 있는데 어쩌면 이 냄새
유전
자군이 포유류 DNA중 가장 긴 사슬로 이뤄졌을지도 모른다는 게 연구진 진단.우리의 눈은 오직 세가지 유형의 수용체로 만물의 색을 구별한다. 즉 적색수용체 녹색수용체 청색수용체를 적절히 활용해 ... ...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05
되고 있다. 그러나 식량증산에 관한한 상당히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선진국들은 최첨단
유전
육종기술 분야에서 우위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다른 나라에 기술협력이나 이전을 하는데 날이 갈수록 인색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기술개발력과 생산기술의 70%가 선진국 수준에 미달하고 있는 실정이나, ... ...
첨단장비로 범죄와 싸운다
과학동아
l
199105
전기를 마련해 고문근절과 인권수사의 확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지문이나
유전
자 등을 범죄수사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은 '하늘아래 똑같은 것은 없다'는 평범한 사실에서 출발한다. 목소리도 마찬가지. 사람의 목소리는 개인마다 고유한 특색을 갖고 있어 목소리를 음성분석기에 넣으면 ... ...
초정밀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05
구별하여 볼 수 있을 만큼 배율과 분해능이 매우 우수한 현미경으로 반도체는 물론
유전
공학에서의 DNA 구조 해석 등 모든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P 140의 사진은 시판되고 있는 STM의 개략도와 이 STM으로 찍은 규소(Si)표면사진으로 사진의 둥글고 흰 것이 규소(Si)원자다. ■3차원 측정기(Coordinated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05
아무에게나 수혈할 수 있는 대용혈액이 개발돼 실용화를 앞두고 있다. 지난 해 미국의
유전
공학업체인 바이오퓨어사(社)가 선보인 이 대용혈액을 수혈에 활용하면 AIDS나 간염같은 혈액감염성 질환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소의 혈액에서 추출한 헤모글로빈(Hb)을 고도로 정제한 이 대용혈액은 현재 ... ...
고향 찾아가는 희귀한 말
과학동아
l
199104
스며들며 독립된 종의 동물형태는 사라져버리게 된다. 수가 많은 종이 별 변화없이
유전
학적 혼합체를 흡수하는 것이다.두 종의 말에 얽힌 사례는 바로 이러한 경우다. 만약 펄저왈스키말의 무리가 보통 말들에 근접하면 두종의 말 사이에 교배가 일어나고 펄저왈스키 말은 결국은 멸종되어 버릴 ... ...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
과학동아
l
199104
않지만 콧속의 작은 혈관이 작은 외상으로도 터지기 쉬운 사람이 있다. 이 경우는 대개
유전
성이다. 이런 사람은 코의 혈관벽이 너무 약하기 때문에 보통 방법으로는 코피를 멎게 할 수 없다. 따라서 출혈을 자주 일으키는 점막 부위에 대한 피부이식수술 등 비상한 방법을 동원하기도 한다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