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d라이브러리
"
역할
"(으)로 총 5,679건 검색되었습니다.
2 NT · BT · IT · ST 필수 장비로 등극
과학동아
l
200305
그 안에 (+)전하를 띤 양성자가 박히게 된다. 이 양성자는 마치 시냇가의 돌다리와 같은
역할
을 한다. 전자가 소자 내부를 한번에 점핑하지 않고 양성자라는 돌다리를 통해 좀더 쉽게 이동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를 통해 전력 손실이 줄어들면서 전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BT - 신종 유전자원 ... ...
병적도박과 알코올 중독 같은 생리현상
과학동아
l
200305
라고 한다. 여기에서는 환청이나 환시와 같은 정신현상에 작용하는 도파민이 중요한
역할
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 호프 시(市) 의학센터의 코밍스 박사 연구팀은 2001년 학술지 ‘임상유전학’에서 병적도박이 과도한 도파민 분비와 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도파민과 결합하는 수용체의 ... ...
지구에서 자기장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305
우주 밖에서 날아오는 고에너지 입자로부터 생명체가 살고 있는 지구를 보호해주는 방패
역할
을 한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이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현상이 극지방 근처에 아름다운 장관을 선사하는 오로라다. 오로라는 지구 표면으로 들어오지 못한 고에너지 입자들이 지구 자기력선을 따라 ... ...
5mm 톡토기에서 진화를 추적하는 생물학자 이병훈
과학동아
l
200305
통해서 알리기는 무척 어렵다는 점이다. 선진국에서는 자연사박물관이 바로 이
역할
을 담당한다.“국립자연사박물관 설립 운동은 어떻게 진척돼 왔습니까? 앞으로는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신가요?”“처음에 한국동물분류학회에 추진운동을 시작할 것을 제안했어요. 그러나 모두들 처음엔 용기를 못 ... ...
② 사스 동물 바이러스 돌연변이가 원인
과학동아
l
200305
1968년의 홍콩독감을 유발했다는 것이다.이러한 유전자재조합에서 돼지가 중간 매개체
역할
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62쪽 그림 2). 이탈리아 과학자들은 조류 독감바이러스가 1979년 돼지로 전이됐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인간 독감바이러스도 1968년 돼지에게 전이됐다. 돼지가 새로운 숙주가 ... ...
아마존 성공비결은 네트워크 판촉전략
과학동아
l
200305
상거래에서 주도 세력이 존재할 뿐 아니라 이 주도 세력이 낙찰 가격 등을 결정하는데 큰
역할
을 하는 것이다.전자상거래의 또하나의 예로 인터넷 서점을 들 수 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인터넷 서점인 아마존에서 책을 구입한 사람들은 ‘무슨 책이 신간으로 나왔으니 구입 바랍니다’라는 ... ...
입 속 세상 다스리는 구강청정제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305
후에도 세균이 남아 있을 때 이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즉 칫솔의 보조
역할
이 가장 적합하다.과다 사용하면 곰팡이 증식 우려그러나 구강청정제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 오히려 해가 되기도 한다. 실제로 입 안을 소독한다면서 클로로헥시딘 성분이 함유된 구강청정제를 6개월 이상 ... ...
4 생명의 기원과 유전자 비밀 밝혀줄 핵심분자RNA
과학동아
l
200304
간섭RNA 현상이 생명체의 발생 과정과 외부 병원체에 대한 방어 기작에 주요한
역할
을 담당할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간섭RNA에 대한 산업적 응용 가능성은 2001년 독일의 막스플랑크연구소 투스클 그룹에 의해 최초로 제기됐다. 이 그룹은 간섭RNA 현상이 포유류 세포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 ...
휴대폰으로 TV 보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04
복조부는 튜너부에서 보내는 IF신호를 받아 구체적인 영상과 음성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
을 한다. 모바일 튜너는 5V의 단일전원에서 구동이 가능하다. 소비전력은 최대 0.75W에 불과해 낮은 전력을 사용해야 한다는 모바일 기기의 특성을 만족시키고 있다.외국에서 TV 수상기를 우리나라로 가져올 경우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04
받아들여졌다. 이렇게 된 데에는 1929년 발간된 잡지 ‘삼천리’의 기사가 결정적인
역할
을 했다. 당시 보도된 내용은 “이원철은 수백의 세계 천문학도가 찾지 못하던 유명한 별 한개를 발견했고 그 별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원철별로 공칭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추측으로 꾸며진 소설 같은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