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01
하기도 했다. 아프리카 케냐에서 사자를 연구하며
사진
을 찍다가
사진
에 매료됐고 1983년
사진
집 ‘사자’를 펴내 주목받았다. 생계를 위해 열기구 관광 업체를 운영하다 ‘하늘에서 본 지구’의 아름다움에 눈떴다. 1995년 시작한 대장정은 1999년 ‘하늘에서 본 지구’라는 책으로 결실을 맺었다. 30개 ... ...
종합적 사고력이 논술 평가의 핵심
과학동아
l
200901
사건이었다. 는 SL9 혜성이 목성과 충돌하기 약 4개월 전에 허블 망원경으로 관측해 찍은
사진
이다. 이 혜성은 여러 개의 덩어리가 줄지어 늘어서 있기에 ‘진주 목걸이’라고도 불렸다. 원래는 얼음 덩어리가 모여 한 덩어리처럼 움직이던 혜성이 목성 주위에 접근하면서 중력 차이 때문에 쪼개진 ... ...
과학으로 만드는 재미있는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1
“길이가 12m나 되는 공룡 타르보사우루스가 자기보다 조금 작은 다른 타르보사우루스를 쫓아 내고 있어요. 서로 싸우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두 공룡은 어미와 새끼 사이지요. 다 커서 독립할 때가 된 새끼를일부러 모질게 쫓아 내는 거예요. 매정하게 보일지 모르지만 이것이 공룡 세계의 법 ... ...
망원경, 크기를 향한 무한도전
과학동아
l
200901
대표하는 최신 기술의 집합체였다. 전기의 힘으로 망원경을 움직일 수 있고 우주를
사진
에 담을 수 있게 되자 망원경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더 크고 더 정교한 망원경을 만들 이유가 충분했기 때문이다. 거기에 우주를 향한 인류의 지적 호기심이 더해져 예술의 경지에 이른 망원경들이 속속 ... ...
휴머노이드와 사랑에 빠진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901
이야기를 하던 도중 그는 갑자기 노트북을 꺼내더니 초등학생 시절 노트를 찍은
사진
을 보여줬다. 거기엔 로봇 과학자가 되겠다는 다짐이 길게 적혀 있었고, 옆에는 로봇 그림이 그려 있었다.“중학교 때 한번은 만화에 나오는 레이저총을 만들고 싶어서 대학 전공서를 뒤적이며 레이저 시스템을 ... ...
사람들이 재미없는 영화를 끝까지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01
젊은 생태학자들의 열정이 느껴진다.책 군데군데 배치된 ‘생생한’ 흑백 현장
사진
도 이야기에 힘을 더하고 있다.새책야누스의 과학김명진 지음 | 사계절 | 251쪽 | 1만 2000원‘20세기 과학기술의 사회사’라는 부제가 암시하듯 이 책은 현대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인 관점으로 핵물리학과 ... ...
2009년 별난 소들의 별난 쇼쇼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1
작고 하얀 꽃을 피우니까 시골의 오솔길이나 밭 근처에서 날 찾아봐! 땅 위의 소우각호
사진
에서 소의 뿔처럼 생긴 호수가 보이니? 그게 바로 나, 우각호야. 난 강의 흐름 때문에 생겨. 강이 하류에 다다라 평야를 만나면 S자 모양으로 구불구불하게 흐르기 시작해. 그 흐름이 반복되면 어느 순간, ... ...
갈릴레이 망원경 400주년 우주에 눈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1
들여다보지 않는다. 망원경으로 들어온 영상은 컴퓨터에서 합성된 뒤에야 우리가 보는
사진
이 된다. 전파망원경도 마찬가지다. 지도의 등고선처럼 위치별로 신호의 세기를 표시한 영상을 만들어 낸다. 3. 망원경에 쓰는 거울은 우리가 쓰는 거울과 어떻게 다를까?거울은 유리에 은이나 알루미늄을 ... ...
아날로그 통신에 푹 빠진 21세기 ‘줄리엣’
과학동아
l
200901
크기의 카드는 교신한 뒤 주고받는 QSL 카드다. 카드에는 각 무선국을 상징하는 조형물의
사진
이 실려 있다.D 모스 부호표줄리엣은 무선통신에 쉽게 익숙해질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교육한다. 백인숙(08학번) 씨는 “모스 부호에서 사용하는 점과 선으로 약 8000개의 어구를 표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B ... ...
2008년 세계를 뒤든흔 과학 Big 5!
어린이과학동아
l
200824
녹는다는 사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지. UN환경계획에서 발표한 킬리만자로의 위성
사진
. 1976년(왼쪽)에 비해 2006년 정상부의 만년설이 많이 사라졌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킬리만자로의 만년설은 지난 90년간 82%가 줄어들었고, 2020년경에는 완전히 사라질 예정이다.우리나라에서도 기후변화와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