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3,898건 검색되었습니다.
1. 한글·영문 글자꼴 어떤 종류가 있나
과학동아
l
199308
10% 단위로 40%까지 줄이는 데 각각을 전산사식 용어로 장1에서 부터 장4라고 표현한다.
마찬가지
로 글자의 폭은 그대로 두고 높이만 줄인 것을 평체라 하는데 역시 10%단위로 줄여 평1, 평2 등으로 표현한다.영문서체는 한글에 비해 종류가 훨씬 많다. 로마자 계열을 사용하는 나라가 많고 활자에서부터 ... ...
화석속의 DNA추출, 1억년전 공룡 되살릴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308
유전공학은 19세기의 다이너마이트, 20세기의 맨해턴 프로젝트(원자폭탄 개발사업)와
마찬가지
로 21세기 인류의 운명을 위협하는 무서운 존재가 될지도 모른다 ... ...
프로그램 관리자와 파일관리자
과학동아
l
199308
것도 가능하다.프로그램 관리자의 파일 메뉴에 있는 '실행' 메뉴를 선택하면 도스와
마찬가지
로 자신이 원하는 명령을 직접 입력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어떤 프로그램이 아이콘으로 등록돼 있지 않을 때라도 프로그램 관리자를 통해서 실행 가능하다는 것이다.다음으로 ... ...
물리- 분자운동 활발할수록 물체는 뜨겁다
과학동아
l
199308
때문이다. 여름철에 솜이불 속에 있는 얼음이 밖에 있는 얼음보다 오래가는 이유도
마찬가지
다.반드시 온도가 다른 물체를 접촉시켜야만 열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쇠 같은 것을 망치로 계속 두드리면 쇠를 이루고 있는 입자들이 활발하게 움직이게 되어 우리에게 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 ...
침몰 유조선 피해 줄이는 유압형 닻줄장치 개발
과학동아
l
199307
않는다.브레이어호는 침몰할 때 닻을 내리지 못했지만 닻을 내린다해도 결과는
마찬가지
였을 것이다. 닻은 강한 조류 속에서 기름을 탑재한 유조선의 표류를 막지 못하기 때문이다. 닻을 유지하는 장치는 브레이크가 과열돼 아무리 강한 닻줄이라도 유조선의 닻줄은 결국 끊어진다. 닻에 의해 ... ...
4. 동식물에게도 혈액형이 있다는데
과학동아
l
199307
있으며, 그 안에 12개의 혈액형이 존재한다고 한다. 이중 Tr 항원은 사람의 ABO혈액형과
마찬가지
로 그 항원을 가지지 않은 개에서는 항 Tr 항체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Tr항원이 음성인 개에게 Tr항원 양성 혈액을 주사하면 용혈성 수혈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개의 A항원은 사람의 Rh(D) 항원처럼 ... ...
3차원 입체 영상의 마술
과학동아
l
199307
도트 3D는 한 장의 화면 속에 입체그림이 떠오른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랜덤 도트 3D도
마찬가지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한 장의 화면 속에 중첩된 두 장의 화면이 숨어 있는 것이다. 이같은 '곡예'는 무작위적인 점 무늬(도트 패턴)를 사용할 경우에만 가능하다. 중첩된 두 개의 화면을 언뜻보아 한 ... ...
PC통신 공개자료실
과학동아
l
199307
트리 구조로 표시되고, 우측에는 선택된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보여 준다. 돌도끼와
마찬가지
로 파일 복사 이동 삭제 이름바꾸기 비교하기 등 간단한 쉘 기능을 지원하며 간단한 텍스트 파일은 내장된 간이 에디터로 바로 수정할 수 있다.또한 메모리보기기능 시스템정보기능 등은 노천 ... ...
화학- 돌턴의 원자가설, 그 허와 실
과학동아
l
199307
물을 ${H}_{2}$O로 올바로 알 수 있었다면 물의 화학식은 8이 아닌 16(=8×2)이었을 것이다.
마찬가지
로 암모니아를 NH가 아닌 ${NH}_{3}$로 올바로 알았다면 질소의 원자량은 5가 아닌 15(=5×3)이었을 것이다. 이렇게 하면 산소나 질소의 원자량은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원자량과 거의 일치하는 값을 얻을 수 ...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
과학동아
l
199307
때 태양의 가장자리로 부터 멀리 퍼져 보이는 진주빛의 햇무리다. 이 코로나는 채층과
마찬가지
로 개기일식 때 이외에는 볼 수 없었으나, 19세기 프랑스의 천문학자 리요가 광구의 빛을 인공적으로 가리고 채층과 코로나의 약한 빛만을 가려내는 코로나그래프라고 하는 특수한 망원경을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