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뉴스
"
장치
"(으)로 총 4,425건 검색되었습니다.
[2017 노벨 물리학상] 노벨상 비껴 간 비운의 학자 로널드 드리버
동아사이언스
l
2017.10.03
‘라이고 3인방’ 가운데 맏형인 드리버 교수는 라이고를 인간이 만든 가장 정밀한 측정
장치
로 만드는 데 핵심 역할을 했다. 이론상 중력파를 측정하려면 지구 반지름 크기의 거대한 물체에서 원자 핵 크기 정도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지구의 어떤 측정 장비도 근접하지 ... ...
미래 ‘스텔스 기술’ 전파는 물론 소리-빛까지 속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투명망토’ 메타물질 연구 진전 미국 공군이 운영하는 스텔스 전투기 F-22랩터. F-22등의 최신 스텔스기도 일부분에만 메타물질이 적 ... 군사용 스텔스 장비는 물론이고 의료,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첨단 디스플레이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국가 원천기술”이라고 말했다 ... ...
물 위에 띄워두기만 하면 햇빛 받아 수소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하면 햇빛을 받아 수소 생산을 시작한다. 이승협 연구원은 “앞으로 수소를 모아두는
장치
를 덧붙이면 다목적으로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넓은 태양전지에 물 분해 촉매전극을 결합해 인공광합성 시스템을 개발했다. 백금과 니켈-철 촉매를 이용해 태양빛으로 받은 에너지의 약 3%를 ... ...
소금으로 차세대 배터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저장한 뒤 필요할 때 꺼내 써야 한다. 최 책임연구원은 “리튬이온 대용량 전력 저장
장치
는 가격과 안정성 문제 때문에 1MWh 수준에서 가능성만 확인한 상태”라며 “소듐이온은 리튬이온을 대신할 유력한 후보 물질로 10~20년 정도 꾸준히 연구하며 발전시키면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수증기로 신재생에너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GIB 제공 태양 복사에너지의 절반 정도가 지구 표면에서 흡수된다. 이 에너지는 수면의 물을 증발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킨다. 이 수증기를 이용해 청정에너 ...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며 “(이번 연구가) 향후 이를 이용한 에너지 변환
장치
생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박찬국 서울대 교수팀, 실내항법 경연대회서 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17.09.26
박찬국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이 일본 홋카이도대에서 열린 2017 국제 실내 항법 경연대회(IPIN 2017) 스마트폰 부분에서 우승했다고 26일 밝혔다. IPIN은 실내 위 ... 방법이다. 건물 입체 실내 지도나 와이파이, 카메라 등 스마트폰에 들어있는 다양한 센서와
장치
를 이용한다. ... ...
[WWDC 되짚어보기] 맥OS 하이시에라
2017.09.26
언급한 바 있는데, 맥OS 하이시에라 역시 맥OS의 다음 10년을 위한 초석을 다졌다. 저장
장치
에 대한 제약이 사라졌고, 고해상도 미디어 콘텐츠를 운영체제의 일부로 품었다. 어떻게 보면 애플은 하이시에라로 뿌리를 싹 뜯어 고치는 대 공사를 했다. 그 변화는 맥이 가야 하는 방향이자, 맥 이용자들이 ... ...
반짝반짝 눈이 부셔~! 나만의 네온사인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9.25
하는 일이 까다롭기 때문에 대신 네온사인과 비슷한 효과를 내는 ‘EL와이어’라는
장치
를 사용했지요. EL와이어는 일종의 ‘형광물질을 바른 전선’이에요. 형광물질에 전기를 가하면 빛이 나는 원리를 이용해 만들어졌지요. 전력이 적게 들 뿐만 아니라, 전선을 따라 360°로 빛이 난다는 장점이 ... ...
중앙 분리대 위에 올라간 차
팝뉴스
l
2017.09.23
흔들리지 않는다. 사진은 작은 미스터리다. 저 위에 어떻게 올라갔을까? 스프링 도약
장치
가 있어서 위로 점프를 했다면 모를까 사고로 콘크리트 분리대 위에 올라가는 것은 확률적으로 낮아 보인다. 게다가 중앙 분리대 위에서 중심도 잡았다. ‘놀라운 운전 솜씨’는 놀림반 진심반 댓글들이 많다. ... ...
국내 연구진 ‘자율주행 차 두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9.20
6.7mm에 불과하지만 영상을 해석해 차선을 읽거나 행인들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
고장도 확인할 수 있어 급발진 등의 사고에도 99% 이상 스스로 대응할 수 있다. 연구진은 지난해에도 자율주행차용 프로세서를 개발한 바 있으며 올해는 성능을 한층 더 높였다. 계산을 담당하는 부품인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