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모양"(으)로 총 3,337건 검색되었습니다.
- 황제릉과 대한제국에 대해 알아보다 홍릉.유릉 탐방 및 정동 문화재 체험한 날기사 l20141210
- 현릉의 丁자 모양의 정자각 홍릉의 一자 모양의 침전 4. 참배(절) 드리는 길(참도)이 다르다. 조선왕릉: 동쪽으로 들어가서 절하고 서쪽으로 나오는 형식이다. 황제릉: 홍살문에서 정면으로 들어가 절하는 형식이다. 이처럼 황제릉의 제향공 ...
- 가자~~홍.유릉으로!! 다같이 돌자~ 정동한바퀴!! 청소년문화재지킴이 기자단 두번째 현장 취재의 날~~기사 l20141209
- 석조상들이 왕 무덤 앞에 있었는데 홍.유릉에는 침전 앞에 줄지어 있었다. 그리고 코끼리상, 낙타상 등 외국에서 들어온 동물모양상도 있었다. 조선시대에도 코끼리가 우리나라에 있었다고 한다. 다른 나라에서 선물로 준 것이었는데 코끼리가 너무 많이 먹는 동물이라 선물로 받아도 그렇게 기분좋은 선물은 아니었다고 한다. 이 코끼리가 굶어죽는 일도 ...
- 제가 만든 3차원입체 교구랍니다~ 축구공 모양이예요~~포스팅 l20141206
- 제가 만든 3차원입체 교구랍니다~ 축구공 모양이예요~~ ...
- 청소년 문화재 지킴이 기자단 현장취재 (정동편) 대한제국과 정동기사 l20141202
- . 정자각의 모양이 다르다. 원래 조선왕릉의 정자각은 T 자 모양 이지만 황제의 묘인 홍유릉은 달랐다. 정자각이 T 자 모양이 아닌 - 자 모양 이였다. 그래서 정자각이 아닌 침전이라고 부른다. 신기한 홍유릉을 돌다 보니 다시 정동으로 돌아갈 때 가 되어서 다시 돌아왔다. 정동에서는 문화재 런닝맨 ...
- 삼성 딜라이트 따뜻한 IT기술기사 l20141130
- 앞에 전구는 LED로 전력 소모 까지 아끼는 훌륭한 발명품 이다. 그 다음은 아프리카에 준 햇빛 영화관 태양열을 이용해 비교적 단순한 모양을 통해 영화를 틀 수 있다. 또 이러한 제품들은 모두 원리가 비교 적 쉽고 뚜껑이 투명하다. 그 이유는 그 나라 어린이들이 이 과학 원리를 보고 배우면서 자신들이 직접 만들어 기술 까지 알려주기 위해서 이다 ...
- 11.25 이화여대 대강당 제인구달 박사님의 강연에서 구달박사님의 침팬지 인사예요. 처탐사기록 l20141127
- 끝까지 남아 제인구달 박사님과 악수도 하고 사진도 찍을 수 있었어요. 박사님 손은 거칠었어요..^^ 하지만 너무 아름다웠어요. 박사님 목에는 아프리카 대륙모양 팬던트 끈 목걸이가 걸려 있구요. 계단을 내려가시는데 보니깐 명품? 에코백을 왼쪽 어깨에 걸고 계셨어요. 에코백.. 엄마들 장바구니, 천 책가방 같은 ... 오래오래 건강하시길 기도했어 ...
- 똥을 보면 건강이 보인다..건강한 대변은 황갈색, 바나나 굵기, 말단 결장 모양 대변은 냄새보다 횟수·색깔·모양에 집중기사 l20141113
- 색깔, 모양에 있다. 1일 1회 혹은 2회, 굵기는 껍질을 벗긴 바나나(지름 2cm) 정도, 모양은 어느 한쪽이 눌린 형태가 아닌 말단 결장의 모양 그대로 부드럽게 나오는 것이 정상이다. 어린이의 대변이 의외로 굵은 이유는 항문 괄약근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굵기가 지름 2cm 이상으로 굵다면 아이 ...
- 오산리 선사유적을 다녀와서기사 l20141109
- 발굴당시 출토된여러 유물들을 보았는데,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옮겨진덪무늬 토기, 신석기 사람들 최초의 신상이라는얼굴모양 토우, 돌에 동물뼈를 달아 낚시했다는이음낚시줄이 가장 기억에 남는것 같아요.옛날 사람들이 살았던 곳을 직접 체험해 보니우리 조상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조금이나마알 것 같다 ... ...
- 제 손가락입니다 (제 손가락은 태어낫을 대 부터 이렇게 생겻으며 일부로 이 모양을 만들려고탐사기록 l20141103
- 제 손가락입니다 (제 손가락은 태어낫을 대 부터 이렇게 생겻으며 일부로 이 모양을 만들려고 하시면 뼈가 휘거나 부러지는 사고를 당하실 수 있으니 주의해 주세요) ...
- 근현대사가 살아 숨쉬는 그 곳, 정동에 가다 정동 스탬프 투어기사 l20141102
- 강의를 들었습니다. 강의를 듣고 난 후에 정동 스탬프 투어 도장을 찍어주셨습니다. 도장의 모양은 대한 제국의 상징인 오얏꽃 모양이었습니다. 오늘 다녀온 정동과 덕수궁 지도 도장을 빈칸에 찍어주시고, 대한제국의 옥새도 찍어 주셨습니다. 옥새가 스탬프가 아닌 진짜 도장이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았습니다. 김진형 연구원님의 강 ...
이전3003013023033043053063073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