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신"(으)로 총 9,423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주황의 악당예찬4 - 스스로 진화하는 로봇 울트론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만들어낸 울트론과 히어로 들이 없애려고 싸우는 최종 단계의 울트론은 완전히 다 르다. 자신의 단점을 스스로 보완하고 개조한 데다, 용 도에 따라 크기가 작거나, 혹은 힘이 센 복제 울트론을 만들어 적재적소에 사용한다. 상황에 따라 최적의 판 단을 내리고 실행한다.한 가지 더. 울트론은 ... ...
- 김주황의 악당예찬6 - 창 하나로 세뇌시킬 수 있을까 로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가진 지식과 경험, 능력을 고스란히 살리기 위해서다. 대상의 재능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자신의 마 음대로 행동을 조종할 수 있는 ‘고급 기술’인 셈이다.로키만큼은 아니지만 현실에서도 비슷한 연구 결과 가 조금씩 등장하고 있다. 지난해 4월 ‘미국공공도서관 학회지(플로스원)’에는 미국 ... ...
- 태초에 빅뱅이 없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에너지보다 큰 에너지를 한순간에 내놓는다.연구팀에 따르면, 빛의 속도는 광자 자신의 에너지에 따라 변한다. 이 값은 너무 작아 일상적인 우주에서는 관측하기 힘들지만 ‘감마선 폭발’처럼 아주 큰 에너지 상태에서는 그 차이가 충분히 클 수 있다. 즉 같은 감마선 폭발에서 두 개의 광자가 ... ...
- [knowledge] 유전자에도 피부색이 있는가 ‘인종의학’ 논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사실은 정반대다. 채 교수는 이 실험을 하면서 응답자인 흑인이 ‘자신이 속한 사회가 자신에게 얼마나 차별적이라고 느끼는지’를 묻는 항목을 넣었다. 즉 인종에 의한 부정적인 반응을 접하고 느끼는지 물은 것이다.그 결과는 놀라웠다. ‘차별적으로 느낀다’고 응답한 흑인이 그렇지 않은 ... ...
- 밤마다 우는 아기, “동생 갖기 싫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1년 사이의 아기들이 이런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연구팀은 아기의 이런 행동이 자신의 생존 확률을 높이는 ‘적응’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형제가 적을수록, 한정된 자원을 두고 경쟁하거나 전염병에 걸릴 위험이 낮아져 아기의 생존 확률이 높아진다. 연구팀은 아기의 이런 전략이 ... ...
- [슈퍼 악당 테크놀로지] INTRO 매력적인 악당이 대세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약물을 이용해 새로운 삶을 찾은 익스트리미스의 알드리치 킬리언이 피부에 와 닿는다. 자신의 종족을 위해 지구를 정복하려는 조드와 뮤턴트의 살 권리를 주장하는 매그니토는 더 말할 것도 없다. 마지막에는 스스로를 발전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 로봇, 울트론도 있다. 비록 히어로에 의해 ... ...
- OUTRO 악당이 세계를 정복하려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널리 알릴수록 목표를 달성했을 때 성취감이 높아진다고 주장한다. 악당에게 히어로는 자신의 목표를 이해하는 단 한 명의 청중이다. 목표 달성이 눈앞에 있는 상황에서 성취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본능적으로 입을 여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악당은 쓰러지고 평화가 찾아오는 것으로 마무리 ... ...
- 지금은 소프트로봇 시대 - 로봇이 림보도 하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우리에게 어떤 미래를 보여줄까. 이제 막 첫 걸음을 내디뎠지만, 화이트사이드 교수는 자신만만하다.“소프트로봇은 매우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큰 가치가 내재돼 있습니다. 바로 수많은 과학자들이 소프트로봇을 이용해 새로운 영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죠. ... ...
- 고리 두른 소천체 등장에 천문학자들 ‘멘붕’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부산물이라는 설이 강했다. 가까운 두 천체는 서로 중력을 주고 받는데, 작은 천체가 자신의 중력보다 큰 기조력(상대가 나를 당기는 힘)을 받으면 부서진다. 이렇게 부서진 파편이 큰 천체의 고리가 된다.문제는 이 과정이 일어나려면 행성이 커야 한다는 점이다. 이전까지는 커다란 목성형 행성이 ... ...
- 잠과 꿈의 몽상학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화를 내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잠과 꿈에 대해 온갖 과학 연구가 있었는데, 고작 자신을 괴롭히는 악몽의 정체조차 모른다니 말이다. 하지만 조금 너그러워지자. 인류는 악몽은 커녕 꿈을 왜 꾸는지조차 정확하게 모르니까. 그리고 무엇보다 그 꿈이 정말 꿈인지도 모르니까. 진짜 세상이 꿈 ... ...
이전3003013023033043053063073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