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각종
몇몇
d라이브러리
"
여러
"(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사이보그라는 캐릭터에 투영된 인간의 상상력을 현실로 만드는 일은 이 글을 읽는 바로
여러
분들에 달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저스티스리그 슈퍼 히어로의 무기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필요한 만큼 나눠 쓰기 때문에 협력 연구에 장벽이 없다”고 말했다. 협업의 결과가
여러
차례 노벨상 업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직접 경험한 만큼 연구소의 모든 조직과 구조는 협업을 장려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인터뷰를 마치기 전, 그는 기자에게 LMB에서 함께 일했던 한국인 동료 이야기를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배아 발달에도 혹스 유전자가 큰 역할을 합니다. 초파리에는
여러
개의 혹스 유전자가 하나의 그룹으로 묶여 있는데 진화 과정 동안 복제가 일어나면서 쥐와 인간의 유전체에는 이런 그룹이 4개나 존재 합니다. 혹스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쥐는 초파리와 마찬가지로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연구센터 정문 사진 하나 나오지 않습니다. 물론, 방법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
가지 인체실험을 진행하는 만큼 종종 실험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갑자기 고압 환경에 처했을 때 방향 감각과 면역 염증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갑자기 고온의 챔버에 들어갔을 때 체온이 어떻게 변하는지 ... ...
[Culture] 알골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책을 읽거나 영화를 보고 싶고 지구의 소식도 듣고 싶습니다. 포브스에 자리를 잡은 것은
여러
가지 보급물품 문제 때문이기도 합니다.” “지구에 숨는 건요? 정부의 추적을 따돌릴 수 있지 않을까요?”“그건 가능할 수도 있다고 봐요.” 메데이아가 끼어들었다.그러나 프로스페로는 고개를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주파수를 가진 테라헤르츠파를 발생시켜 구현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파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보통 레이저와 반도체로 광전 효과를 일으켜 유도한다. 테라헤르츠 영역의 광자는 플라스틱이나 섬유 등을 투과한다. 공항에서 숨겨진 폭발물을 찾거나 문화재를 복원하기 위해 내부를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참굴큰입흡충 등에 감염되는 원인인 민물어패류도 당시 날 것으로 먹었다는 기록을
여러
문헌에서 찾았다. 즉 익히지 않은 수산물을 즐겨먹는 식문화가 당시 기생충 감염률을 높이는 데 일조한 셈이다. 비위생적인 식문화도 기생충 감염 위험을 높였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2012년 경복궁 ... ...
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변신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녀석끼리는 닮는다그러나 한 종이 다른 종을 모방하는 베이츠 의태 모형으로는 나비
여러
종이 같은 특징을 지니는 것을 설명하지 못합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독일의 동물학자 프리츠 뮐러가 ‘뮐러 의태’를 제시합니다. 뮐러는 1879년에 의태의 이점을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설명했는데, 이때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이용해 로봇을 만들면 이보다 훨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요. 구조를 유지하면서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원리를 응용하는 것이지요. 종이접기를 활용해 곤충 크기의 소형 로봇을 만들고 있는 고제성 아주 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는 “종이접기를 활용하면 기존 방법보다 작게 만들 수 ... ...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또한 소라게에게 집을 내어주는 고둥이 소라게보다 많지요. 그 결과 우리나라 소라게는
여러
고둥껍데기 집들 중 원하는 곳을 골라 들어갈 수 있어요.하지만 안심하기엔 일러요. 해양 산성화는 세계적인 추세고, 바다는 서로 연결돼 있기 때문이지요. 실제로 우리나라의 진해만에서는 여름철 저층의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