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성을 굽어 살피는 어진 소리 편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8개 하단에 8개의 경석을 매달은 형태이며 소뿔로 만든 ‘각퇴’라는 작은 망치로 경석의
끝
부분을 쳐서 소리를 낸다. 국립국악원 악기연구소 이숙희 학예연구사는 “편경은 12율4청성(十二律四淸聲)을 내며 두께가 두꺼울수록 음이 높다”고 설명했다. 두께가 두꺼울수록 편경의 진동수가 높기 ... ...
도로 위 안전 책임지는 자동차 속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가격은
끝
도 없이 올라간다. 그래서 정부와 자동차 회사들은 가격과 효율성 사이에서
끝
없이 고민한다. 자동차에는 소비자의 부담은 최소로 줄이면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과학자와 엔지니어의 노력이 담겨 있는 셈이다.운전자 생명 구하는 폭탄, ‘에어백’에어백은 안전벨트와 함께 가장 널리 ... ...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현대 과학자들은 생화학을 통해 우리 몸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려고 한다. 동물이나 식물 같은 유기체를 세포수준에서 이해하는데 생화학 기술이 ...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나 이미 풍크의 명명이 일반화된 후였으므로
끝
자인 ‘e’를 빼고 지금까지 널리 쓰이고 있다 ... ...
출동! 동물흔적탐험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똑같은 구슬 모양은 아니야. 염소는 강낭콩 모양의 똥을 한 장소에 포개어 누고, 노루는
끝
이 뾰족한 도토리 모양의 똥을 길게 흩어지게 누거든. 이렇듯 동물마다 똥의 모양과 누는 습성을 외워 두면, 똥만 보고도 그 주인공을 찾을 수 있겠지? 이건삵의똥! 똥의내용물을보고 삵이무엇을먹었는지도 ... ...
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결맞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일어남을 밝혔다. 한 색소가 빛에너지를 흡수할 때 다른 색소가 동시에 작용해 깔때기
끝
으로 순식간에 에너지를 손실 없이 보낼 수 있다는 뜻이다. 이런 현상은 양자역학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양자역학에서 다루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기본 입자들은 서로 구분되지 않는다. 전자는 모두 ... ...
모바일게임 대작 영웅서기3의 인기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있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그래픽 디자이너의 업무는 다른 개발자와 달리 프로젝트가
끝
날 때까지 계속 반복된다. 게임을 만드는 과정에서 변수가 생길 때마다 수정 작업을 하기 때문이다.그만큼 디자이너들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수밖에 없다.“업무시간 외에는 일은 잊고 최대한 많은 것을 ... ...
[기계공학] 로봇 물고기로 바닷속 오염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분야 컨설팅 전문회사인 영국 BMT그룹은 영국 에식스대 연구팀과 3년 동안 공동 연구한
끝
에 로봇 물고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이 로봇 물고기는 잉어를 본 뜬 모양으로 크기는 약 1.5m이며 움직임도 실제 물고기를 그대로 모방했다. 연구팀의 선임과학자인 로리 도일 박사는 “기존 로봇 물고기와 ... ...
가장 ‘안전한’ 생활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2003년 국제표준(ISO)에서 강도평가에 대한 국제표준화를 위한 논의가 제안돼 치열한 노력
끝
에 지난해 11월 국제표준(ISO TR29381)에 등재됐다.앞으로 우리 연구실은 개발된 기술을 산업현장에 적용하는 흐름을 더욱 강화해 시스템과 대형구조물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안전 알림이’가 되고자 한다 ... ...
나비가 춤추듯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쓴다. 위로 날갯짓을 할 때는 날개 앞부분이 먼저 위로 들리게 하는데 그 결과 날개
끝
의 소용돌이가 커져 양력을 증가시킨다. 딱정벌레의 비행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건국대 기계항공공학부 변도영 교수는 “만일 아래로 향한 날갯짓과 동일한 각도로 위로 날갯짓을 한다면 날개 아래쪽에 ... ...
별은 몇 쌍둥이까지 가능한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쌍은 겉보기쌍성이라고 한다.예를 들어 국자 모양의 북두칠성을 보면 국자 손잡이
끝
에서 두 번째 별이 겉보기쌍성이다. 미자르와 알코르라는 2개의 별로 이뤄져 있는 이 쌍성은 고대 로마에서 군인을 선발할 때 2개로 식별할 수 있는지를 근거로 삼아 시력 검사에 활용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