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윈도 vs 리눅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사면 함께 주는 여러가지 소프트웨어가 있다. 윈도98, 한글 97, 새롬데이타맨 등. 여기서
꼭
하나 윈도가 없으면 나머지는 전혀 사용할 수 없다. 왜 그럴까.컴퓨터라는 기계는 인간보다 많은 일을 처리할 수 있지만 결코 혼자서 작동되지 못한다. 사람이 움직이게끔 해주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줄 ... ...
산불 그 후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산불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서나 다시는 이런 일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
꼭
필요한 과정이다. 이번 기회에 산불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나 산불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산림을 바라보는 입장에 따라 산불피해지의 생태계 복구(복원)에 대해 제각각 다른 ... ...
③ 추론 : 주인 취향 맞춰 비서 노릇 척척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몸에 열이 나고 기침을 하면 감기이다”는 규칙이
꼭
100% 정확히 맞아야 할 필요는 없다.두뇌를 모방한 컴퓨터, 신경망인공지능의 초창기에 개발된 논리적 추론이나 전문가시스템의 추론 기법은 주로 기호를 바탕으로 이뤄진다는 특징이 있다. 즉 기호를 사용해 ... ...
만약 산소 반응성이 두배 높아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좀처럼 끄기 어렵다. 하지만 공기의 21%가 산소라는 사실과 산소가 어떤 물질을 태우는데
꼭
필요한 것이라는 점을 아는 사람이라면 그 이유를 짐작할 것이다.몸 안에서도 연소가 일어난다. 사람이 공기를 호흡하는 것은 공기의 78%를 차지하는 질소를 원해서가 아니라 질소보다는 적게 들어있지만 ... ...
고인돌과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돌은 영원불멸의 상징고인돌은 주로 죽은 사람을 묻기 위해 만든 것으로 말해지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다. 제사를 위한 제단고인돌이나 집단의 묘역을 상징하는 묘표고인돌도 있다. 흔히 계곡이나 산기슭의 약간 높은 곳에 단독으로 세워놓은 것이 제단고인돌이고, 고인돌이 몰려있는 곳의 ... ...
측우기·수표·풍기죽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비가 얼마나 왔으니까 올해는 어떻게 되겠다는 예측을 할 수 있고, 동남풍이 분 다음에는
꼭
비가 온다는 경험을 통해 날씨를 예측할 수가 있다. 사실 “삭신이 쑤시는 걸 보니 비가 오려나?”했던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들의 말씀도 오랜 경험에서 배운 날씨 예측법이다. 저기압이 되면서 관절의 ... ...
남십자성과 에타카리나 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찍을 경우 렌즈에 서리가 끼지 않도록 열을 내주는 핫팩(약국에서 구할 수 있다)이
꼭
필요했다.남십자자리 등장초저녁 천정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두 별 시리우스와 카노푸스의 등장으로 남천의 밤하늘이 열리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에서도 남부지방에서 겨울 남쪽 지평선에서 붉은 색의 카노푸스를 ... ...
자신감으로 똘똘 뭉친 터프 가이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개발의 주역인 SK케미컬의 김대기(44)소장이다.“내가 과학자라고 하면 모르는 사람들은
꼭
다시 한번 물어 봅니다. 정말 과학자 맞냐고요? 하하하!” 옆집 아저씨처럼 편안하기도 하고 군인처럼 절도 있는 모습을 보여서 그런 것일까. 사실 그의 터프한 모습은 군인이었던 아버님의 영향이 크다. ... ...
선과 악을 넘나드는 두 얼굴의 산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세포의 단백질이나 지질 등을 파괴하는 악동으로 변한다.이름하여 '활성 산소'.호흡에
꼭
필요한 산소가 노화의 원인으로 지목된 이유는 무엇일까.등반가나 잠수부는 고압의 산소가 담긴 무거운 금속통을 메고 다닌다. 여기서 산소통은 호흡을 위한 생명줄 역할을 한다. 일산화탄소가 포함된 ... ...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같은 호먼 궤도를 이용하기란 쉽지 않다. 왜냐하면 탐사선을 발사할 시기와 비행시간을
꼭
2백60일에 맞출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행성탐사는 호먼 궤도를 기본으로 해서 비행궤도를 만들고 그 길을 따라 비행을 시켜왔다. 금성과 화성, 가까운 곳부터행성 탐사선의 첫 발사는 1960년 1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