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오래
d라이브러리
"
긴
"(으)로 총 3,49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글 워드프로세서 어떤 것이 좋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원래 한글을 만든 사람들이 대학생이었음을 감안한다면 한글이 찾기/바꾸기 기능 등으로
긴
글을 편집할 때 돋보이는 까닭을 짐작할 것이다.다른 워드프로세서들이 영문 대소문자를 구분하고 현재 전체 등의 제한을 가지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한글은 특수한 글자속성을 지닌 문자만을 찾을 수 ... ...
앵초 큰앵초 깽깽이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다년생 풀로 원줄기가 없고 땅속 줄기가 짧은데, 밑둥에서 여러개의 잎이 나온다. 잎은
긴
자루 끝에 달리고 둥근 심장형이다. 길이와 지름이 각각 9cm로서 가장자리가 파상인데, 전체가 딱딱하며 연잎처럼 물에 젖지 않는다.4~5월에 연하고 붉은 자주색 꽃이 피며 지름 2cm의 화경 1~2개가 잎보다 먼저 ... ...
① 빛은 우주의 비밀 캐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이와 마찬가지로 빛도 파장에 따라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빛을 파장이 짧은 것부터
긴
것 순서대로 늘어놓으면 (그림2)에서와 같이 γ선 X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마이크로웨이브 전파 등이 된다.여기에 열거된 대부분의 빛들은 우리 인체에 해롭다고 말할 수 있다. 현대 물리학에 따르면 빛은 ... ...
스리랑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아직도 국민의 80%가 맨발로 지낸다. 근래에 와서 차츰 구두를 신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생
긴
병이 무좀이다. 따라서 이 나라에서 무좀은 문화병으로 통한다.이곳은 과일이 무진장하게 많은 나라여서 어딜 가도 발길에 차이는 게 열대 과일이다. 그 많고 많은 과일중에 스리랑카 망고는 맛이 세계 ... ...
노화(老化) 규명에 서광이 비친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사람은 왜 늙는가. 수명은 어디까지 연장 가능한가. 이 과제는 의학이나 생물학뿐만 아니라 현대과학이 해결해야 할 최후의 과제다. 세포 수준에서, ... 미국국립노화연구소연구원 후버 워너는 로스 박사의 연구성과를 놓고 "우리는 지금 길고
긴
어두운 터널을 막 벗어나려 한다"고 평했다 ... ...
④ 블랙홀의 정체를 밝혀라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이루어졌다는 사실 자체가 우리에게는 신선한 충격이 아닐 수 없다. 미국 해군은 지금도
긴
역사를 자랑하는 해군 천문대를 운용하고 있다. 우후루로 시작여러 시행착오 과정을 거쳐서 천문학자들이 본격적으로 X선 천문학을 시작하게 된 것은 1970년 미국의 관측위성 우후루(Uhuru)가 우주 궤도에 ... ...
5. 87㎞돌아 입자를 충돌시키는 SSC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있다. 그 첫번째는 어떤 종류의 입자를 가속시키는가 하는 것인데 전하를 띤 수명이
긴
어떤 입자도 원칙적으로는 가속기로 가속시킬 수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전자(${e}^{-}$), 양전자(${e}^{+}$), 양성자(p), 반양성자(${p}^{-}$)들을 주로 가속시킨다. 다른 종류의 입자들 경우에는 양성자를 금속표면에 ... ...
몽골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술을 먹고 노래도 부르면서 흥겹게 지낸다. 몽골인은 술 마시면서 노래 부르기를 즐
긴
다. 노래는 말(馬)과 관련된 노래를 특히 좋아한다.우리와 공통점이 많은 나라울란바토르 북서쪽에는 몽골에서 가장 큰 라마교 절인 간단사가 있다. 라마교는 티베트 불교의 일파다. 칭기즈칸의 손자 쿠빌라이 ... ...
2. 화학의 혁명, 우주 원소 가족 103종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입자가속기를 이용해 인공적으로 만들었다. 가장 수명이
긴
테크네튬의 동위원소인 테크네튬98마저 반감기가 4백20만년 밖에 안돼 지구의 역사를 견디어 내지 못하고 모두 붕괴해버린 것이다. 따라서 자연에 존재하는 원소가족은 90인 셈이다.우주에 존재하는 원자의 ... ...
색채과학의 르네상스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경험하는 사실이기도 하다.1984년에 M. V. 조클은 자신의 논문에서 색채에서 야기되는
긴
장 스트레스가 부신호르몬의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리고 최근까지 발표된 많은 관련연구들이 색채의 생리적 영향이 간과할 수 없는 수준의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현대의학은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