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료
벗
동무
교우
동지
단짝
전우
d라이브러리
"
친구
"(으)로 총 3,284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03
저녁에 도서실에서 만나자"라는 말을 하면서 내 옆을 지나가는
친구
가 있다고 하자. 그
친구
가 '도'자를 발음할 때 나와 가장 가까운 거리를 지나갔다면 나에게 가장 먼저 들리는 소리는 '우'자가 아니라 '도'자가 될 것이고 그 전과 후에 발음된 '에'자와 '서'자가 섞여서 다음에 들릴 것이므로 ... ...
1. 누가 뉴턴의 세계에 돌을 던졌나
과학동아
l
199401
것이다."고 제임스 글리크가 쓴 '카오스'란 책에서 밝혔다.요크는 의외로 생물학자인
친구
로버트 메이와의 공동연구에서 카오스계에서 나타난 질서를 찾았다. 생태학에서는 고전적으로 아주 간단한 선형방정식을 애용해 왔다. 단적인 예가 먹이가 많아지면 개체수가 는다는 방정식이다. X′=nX, X는 ... ...
삽살개
과학동아
l
199401
실감케 해준다. 실로 삽살개는 우리 조상들의 삶의 애환에 깊이 연루된 우리 모두의 오랜
친구
인 것이다. 그런데, 이 땅에서 그토록 오랫동안 끈질긴 삶을 영위해 온 우리의 삽살개들은 모두 어디로 가 버렸는가? 일제시대와 6·25 사변, 현대사회 형성의 격변기를 거치는 동안 우리는 삽살개마저 ... ...
공부밖엔 할 것 없던 시절의 '짧은'여유
과학동아
l
199401
신사복 한벌 입어보지 못했는데 빛바랜 사진 한 장을 들춰보니 그래도 신사복 입은
친구
가 몇 보인다. 표준과학연구원장을 지냈고 현재 동 연구소의 연구위원이며 한국물리학회장인 이충희 박사가 그 중 하나다. 미모였던 강영자양(뒷줄 오른쪽에서 세번째)은 동기생인 김정욱군과 결혼해 지금은 ... ...
물리- 자석의 원리
과학동아
l
199312
그것은 우리가 어떤 일을 할때 반드시 시간이 필요한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구
와 만날 약속을 해도 장소뿐 아니라 시간을 명시해야만 만날 수가 있는 것이고 역사를 공부할 때도 사건의 내용과 그 사건이 일어난 시대를 알아야만 완전히 이해가 된다. 공간만 가지고는 우리의 생활 ... ...
700년 잠깬 레바논의 미라들
과학동아
l
199312
관심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파디는 그 문제의 해결책을 찾아냈다. 한
친구
가 베이루트 근처 제니에라는 도시에 있는 아주 멋진 아파트 건물의 지하실을 그들에게 제공했는데, 여기에 그 8구의 미라가 안장됐다.그래도 문제는 남아 있었다. 이 미라들은 과학적 검사를 받을수 있는 ... ...
바이오스피어Ⅱ대원 귀환 보고
과학동아
l
199311
때문이다.실버스톤은 바이오스피어를 떠나면서 두가지 상반된 느낌을 받고 있다. 하나는
친구
와 가족을 다시 볼 수 있고 산책이나 쇼핑도 즐길 수 있다는 기대감이고, 또 하나는 이 아름다운 구조물 안에서 하루를 시작하는 것에 대한 그리움이다. 그러나 그녀의 다음 임무가 다음 ... ...
흰꽃송이 반쪽만 물들이기
과학동아
l
199311
종이를 타고 올라가면서 또한 색소를 운반하지요. 이것은 색소가 아세톤에 녹기 때문에
친구
따라 강남 간다고 같이 쫓아가는 겁니다. 그런데 종이는 복잡한 셀룰로오스로 돼 있으며 분자 구조상 색소의 성분들을 끌어 당깁니다.따라서 색소는 아세톤과 종이 중 더 끌리는 쪽에 있으려고 하므로 어느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11
질문을 퍼부었다. 심지어 벨에겐 그녀의 몸매가 얼마고 그녀가 한꺼번에 몇명의 남자
친구
들과 교제하느냐는 질문도 있었다.그녀의 지도교수였던 휴이쉬(A. Hewish)교수는 펄사(pulsar, 맥동성이라는 뜻)의 발견자라는 공적을 독점하여 드디어 1974년 노벨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고 그들의 발견이 처음 ... ...
'암기'와 완전결별 선언한 수학능력시험
과학동아
l
199310
이것은 저기압과 고기압의 개념만 정확히 알고 있었다면 너무 쉬운 문제였다. 그런데
친구
들 중에는 기본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한 채 어려운 문제만 푸는 경향이 많아 이와 같은 문제에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던 모양이다. 약간 어려운 문제를 푸는 것도 물론 필요하겠지만 쉬운 문제를 많이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