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아
유익
아전
서리
이두
이토
이를지부
뉴스
"
이
"(으)로 총 45,150건 검색되었습니다.
日 거대 중성미자 검출기, 우주 비밀 담은 실마리 발견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일본의 '슈퍼 카미오칸데'는 물을 사용한 세계 최대 규모의 중성미자 검출기다. 5만 리터의 물
이
담긴 수조를 활용해 중성미자를 발견한다. Super ... K도 처음에는 순수한 물로 채워질 예정
이
지만
이
후 Super-K처럼 가돌리늄을 추가할 가능성
이
있다. - doi.org/10.1038/d41586-024-02221-y ... ...
'1시간 145mm' 극한호우 뿌린 장맛비 '주춤'…다음주 다시 정체전선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더해 강한 햇볕까지 내리쬐면서 '찜통더위'가 찾아올 전망
이
다. 6월 말부터 시작된
이
번 장마 기간 동안 누적 강수량은 전국적으로 239.2mm로 평년 강수량인 152.5mm보다 65% 더 많다 ... ...
알츠하
이
머 유발 단백질 엉킴 제거하는 세포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알츠하
이
머병
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면역세포로 작용하는 미세아교세포의 새로운 메커니즘
이
규명됐다. 게티
이
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 ... 미세아교세포의 식균작용에 관여하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며 "
이
는 새로운 알츠하
이
머병 치료제 개발 전략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 ...
얼음과 액체 사
이
경계, 최초로 직접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오니시 교수는 “다음 연구에서는 더욱 높은 해상도로 관측할 수 있도록 원자현미경
이
외의 측정 방법을 사용할 수 있길 기대한다”며 후속 연구에 대한 목표도 제시했다. doi.org/10.1063/5.021150 ... ...
태양광 모듈 패러다임 바꿨다…"해바라기처럼 태양 따라가며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자원인 태양 에너지를 통해 전기를 자급자족하는 일상
이
펼쳐질 것"
이
라며 "국가적
이
슈인 탄소중립 실현과 에너지 안보 강화에 크게 기여할 성과"라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젤라틴과 DNA의 차가운 '콜라보', 더위 식힐까
2024.07.10
봄철 맞아 안양천 찾은 숭어들. 연합뉴스 제공 누구나 떠올리기 싫은 어린 시절 경험
이
있기 마련
이
다. 필자에게는 스티로폼 배(뗏목)를 타고 안양천을 건너다 한쪽 다리가 빠 ... 《강석기의 과학카페》(1~10권), 《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 《식물은 어떻게 작물
이
되었나》가 있다 ... ...
'남원 급식 김치 식중독' 미스터리…"김치에서 노로바
이
러스 번식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다양한 종류의 김치. 게티
이
미지뱅크 제공공 8일 전북 남원지역 학교에서 식중독 의심 환자가 1032명까지 집계된
이
후 다행히 의심 환자가 나오지 ... 건강하게 만드는 음식
이
기 때문에 앞으로 국민
이
안심하고 김치를 먹을 수 있도록 제조환경
이
보다 위생적으로 바뀌면 좋겠다"고 말했다 ... ...
2배 빠르게 자가치유되는 고성능 가시광선 반응 3D 프린팅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
이
번 기술 개발을 계기로 후속 연구와 소재 분야 기업과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한국
이
글로벌 기능성 3D 프린팅 시장에서 핵심기술을 선점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 5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 ...
'유럽의 자존심' 아리안 6호, 4년 지연 끝에 발사…'절반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기아나 쿠루 유럽우주국(ESA) 발사장에서
이
륙을 기다리고 있는 유럽의 아리안 6호. ESA 제공 유럽
이
4년의 지연 끝에 차세대 우주발사체 '아리안 6호'를 발사했다. 발사에는 성공했지 ... 도중 기술적 문제로 4년 지연됐다. 아리안 6호는 올해 1번, 내년에 6번, 2026년 8번 더 발사될 예정
이
다. ... ...
유전자변형 돼지 신장
이
식받은 두번째 환자 47일만에 사망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이
종
이
식 수술 분야의 기술
이
크게 발전했지만 현재
이
종
이
식술 허가가 인간 장기를
이
식받을 수 없을 만큼 건강상태가 악화된 환자들에게만 내려지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전했다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