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담수담] 몸으로 느끼는 수학은 좋은 기억을 남겨요-손대원 진주외국어고등학교 수석 교사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교구를 만들어 제공하고 있습니다. 여행을 하며 수학 원리를 발견하는 ‘통영 매스 투어 1코스.2코스.3코스’도 직접 기획했는데요. 손 선생님은 수학을 꼭 교과서만으로 배울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흥미로운 장소를 찾아다니며 추억을 쌓는 과정 자체도 멋진 수학 공부라고 강조했습니다 ... ...
- [이달의 우주 날씨] 7월 여름 방학에 떠나는 밤하늘 여행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흐르는 강인 은하수가 흐르고 있죠. 또 데네브와 남쪽 하늘에서 붉게 빛나는 전갈자리의 1등성 안타레스를 연결하면 은하수가 흐르는 방향이 됩니다. 하지만 은하수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천체들은 너무나 희미해서 불빛 하나 없이 어두운 곳에서도 날씨가 쾌청해야만 볼 수 있습니다. 이번 ... ...
- [특집] 황해 초원 기억 품은 큰 물줄기, 한강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시간은 찰나일 뿐이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한강, 그 흐름의 기록PART1 과거 │ 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PART2 현재│ 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PART3 미래 │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인포그래픽 ] 남한 면적의 28%를 품고 흐르는 한강Epilogue 살이 │섬강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하구 퇴적 지형에 위치한 루이지애나주는 해수면 상승과 시추에 의한 침강 등으로 1년에 약 44km2씩 토지가 유실되고 있다”며 “강의 회복력이 충분히 높다면 강을 따라 내려오는 퇴적물이 유실된 부분을 메울 수 있겠지만, 미시시피강은 산업이 발전하며 댐이 여러 개 생겼고, 그 결과 퇴적물이 ... ...
- [한페이지 뉴스] 반짝반짝 작은 별♪ 사실은 쌍둥이 초거대 별!과학동아 l2021년 07호
- VVV-WIT-08와 비슷한 현상이 관측된 천체들을 분석했다. 그 결과 쌍성계인 별 ‘TYC2505-672-1’에서 유사한 패턴이 확인됐다. 이는 VVV-WIT-08이 쌍성계를 이룬다는 주장을 뒷받침해주며,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초거대 쌍성계가 은하계 내부에 존재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다. 스미스 연구원은 ... ...
- [한페이지 뉴스] 이론이 틀렸다, 그래핀보다 인성 10배 높은 2차원 소재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네이처’ 6월 2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1-03488-1 물질의 여러 특성 중 강도는 단순히 변형에 견디는 힘을, 인성은 균열이 있는 물질이 완전히 파괴될 때까지 견디는 힘을 나타낸다. 그래핀은 강도가 높지만, 인성은 상대적으로 작다. ...
- 반도체 세대교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두 가지 포인트로 짚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반도체 세대교체Part1. 더 작게 더 빽빽하게 ‘초고집적 반도체’[인포그래픽] 초미세회로 & 적층 패키징Part2.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 ‘AI ... ...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방식의 PIM이 개발되고 있다.ETRI도 이런 방식을 따른 PIM인 AB31을 현재 개발 중이며, 조만간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권 본부장은 “AI 알고리즘에 적합한 형태의 연산 순서로 프로그래밍한 NPU와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연결성을 높여 연산 능력은 동일하면서 전력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수리부엉이, 6개월 간의 육아일기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때문이다. 작은 새는 1년에 1회 이상 깃갈이를 하지만 수리부엉이와 같은 중대형 조류는 1년이 지나도 날개깃의 일부만 새로 자라난다. 운이 좋아 금세 자라날 수도 있지만 깃이 언제 돋아날 지 기약할 수 없다. 수리부엉이는 꼼짝없이 깃이 돋아나길 기다리며 구조센터에 머물게 됐다. 인위적인 ... ...
- [과동프렌즈] 만유인력의 법칙 이해하려 뉴턴 인생사까지 들여다봤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커터기 등 공학 기술을 배울 수 있는 미술 수업이 있어 좋았다”라며 “다만 영재고는 1학년 때 일반고 3년 과정을 마치고, 2학년부터는 대학교 과정을 배운다. 수준 높은 과학을 배우기 때문에 본인이 흥미가 있어야 버틸 수 있다”고 말했다.마지막으로 공부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자신만의 ... ...
이전2993003013023033043053063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