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것에 이 방법이 적용됐다. 지레의 한쪽 끝에 달린 날카로운 침이 표본과 맞닿으면서
표면
의 윤곽에 따라 위아래로 구부러진다. 이때 구부러진 정도를 지레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빔의 편향정도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본의 윤곽에 대한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다(그림2).AFM은 물에서도 ... ...
광우병'은 소만 걸리는 병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증식할 수 있다. 즉 돌연변이로 만들어진 변형 프리온이 정상적인 프리온을 뇌세포의
표면
에서 변형 프리온으로 전환시키고, 이 변형 프리온들이 뇌신경세포에 쌓이면서 뇌조직에 크고 작은 스폰지 모양의 구멍이 뚫려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만든다는 것이다.프리온 이론은 많은 과학자들에게 거센 ... ...
하늘에서 내리는 미스터리 결정체 눈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두껍기 때문이라고 과학자들은 설명한다.그러나 아직 속시원하게 확산과 얼음
표면
구조가 어떻게 눈 결정 형성에 관여하는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눈 결정이 왜 그렇게도 다양하게 성장하는지는 열린 문제다 ... ...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순도로는 99.999999%에 해당한다. 반도체 재료인 웨이퍼
표면
에 불순물인 입자가 있으면
표면
에 흡집을 만들고 얼룩을 발생시킨다. 또한 전압이 떨어지고, 단선(합선) 결함이 일어날 수 있으며, 반도체 특성 그 자체에 중대한 결함을 일으킨다. 그래서 반도체에는 초순수의 물이 사용되고, 작업실 내부의 ... ...
한국인 위장의 불청객 헬리코박터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미꾸라지처럼 자유자재로 운동한다. 이 편모를 이용해 점막을 뚫고 자리를 잡아, 점막
표면
에 기생할 수 있다.또 헬리코박터균은 강산인 위산의 공격에 대한 대비책을 갖고 있다. 바로 위산을 중화시킬 수 있는 염기인 암모니아로 된 보호벽이다.4명 중 3명이 보유헬리코박터균은 널리 알려진 만큼, ... ...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미르의 6개 모듈 중 하나인 실험선 스펙트르의 태양전지판과 충돌하면서 스펙트르의
표면
이 찢기고 기내에서 산소가 방출돼 기압이 떨어지는 손상을 입었다. 우주선 조정미숙에 따른 인재였다.사고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스펙트르의 전력 수리작업에서는 승무원의 실수로 태양전지판 ... ...
알루미늄 포일의 변신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포일의
표면
에 하얀 거품이 보이는데, 바로 수소기체가 발생한 것이다. 알루미늄 포일의
표면
은 산화알루미늄이 둘러싸고 있어 쉽게 반응하지 않는다. 알루미늄은 양쪽성 물질이다. 즉 산이나 염기 양쪽 모두와 반응해 수소기체를 발생시키며 녹는다. 하수구 청소제 속에는 수산화나트륨이라는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참여하지 못한 소천체가 태양계에 엄청나게 많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구형 행성
표면
에는 이런 소천체의 충돌이 잇달아 수많은 구덩이가 생겨났다.그런데 수성이 지구보다 구덩이(충돌구)가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이것을 흔히 지구의 대기가 소천체 충돌시 작은 것은 태워버리는 역할을 하기 ... ...
쥐불놀이에 숨어있는 눈의 속임수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있다. 그런데 진한 색깔을 오래 보고 있으면 원추세포가 피로해진다. 이런 상태로 하얀
표면
을 보면 강렬한 보색의 잔상이 남게 된다. 이를 ‘보색잔상’이라고 한다.이는 수술복이 왜 초록색인지를 설명해준다. 대부분의 수술에서는 출혈이 불가피하다. 만약 의사가 강한 조명 아래에서 오랫동안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긴 붉은빛만 통과해 지구그림자에 투영되기 때문이다. 바로 붉은빛이 포함된 그림자가 달
표면
에 떨어져서 개기월식중인 달이 붉게 보이는 것이다.겨울 새벽이라 추워서 이불 속에서 나오지 못할 사람들은 6개월 뒤인 7월 5일 밤에 부분월식을 기대해도 좋다. 하지만 이번 개기월식만은 못할 것이다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