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프리온 단백질이 없는 생쥐를 만들었지만 실망스럽게도 이 녀석들은 정상 생쥐와 별다른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좀 더 면밀히 조사한 결과 이 녀석들은 신경계의 시냅스 전달 과정이 비정상적이었고 생체 리듬과 수면 주기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한편 프리온 단백질에는 구리 ... ...
호날두의 신무기 무회전 슛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강한 회전을 걸어 찬다. 회전하는 공은 공의 양쪽에 닿는 공기 흐름에 영향을 줘 압력에
차이
가 생기게 한다. 공기의 흐름이 회전방향과 같은 쪽에서는 공기의 속력이 빨라져 압력이 감소하는 반면, 반대쪽에서는 압력이 증가한다. 베르누이 정리에 따르면 공기가 ‘흐트러지지 않고 흐를 때’ 빨리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1970년 이래로 새를 포함한 육상동물과 해양생물, 담수생물의 4분의 1 이상이 멸종했다.세계자연보호기금(WWF)은 ‘살아 있는 지구 지수’(LPI, Living Planet Index)를 통해 6500만 년 전 공룡 ... 따라 산화물계와 칼코게니드계가 있다개체 발생이 서로 다른 생물을 비교·연구하고, 그
차이
점이나 ... ...
PART1 터키 행진곡은 붉은색!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생리학자 요하네스 뮐러가 ‘특정 신경 에너지 이론’에서 다섯 가지 감각 경험의 질적
차이
를 설명했다.20세기에 접어들면서 인간과 동물의 뇌에 대한 신경과학적 연구가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다섯 가지 감각이 뇌에서 차별적인 영역과 경로를 통해 처리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더 나아가서 한 ... ...
손대면 톡(talk) 터지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손가락으로 누르는 압력(대략 8g)을 감지한다(정전압 방식).정전압 방식은 압력의 미세한
차이
를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주머니에 넣었을 경우 버튼이 잘못 눌리는 경우가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정전압 방식을 택한 국내 터치폰은 측면에 잠금키 기능이 있다. 미래의 휴대전화는 든든한 ... ...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내야 하지만 ‘부자’들의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미국의 ‘23andMe’는 개인별 염기서열의
차이
를 나타내는 단일염기다형성(SNP)을 분석한 뒤 의뢰인의 조상이 누구인지, 가족 간에 누가 유전적으로 더 가까운지 유전적 혈연관계를 알려주는 흥미로운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령 내가 칭기즈칸의 ... ...
지구 3차원 영상지도 전쟁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버추얼어스가 제공하는 지도정보 서비스의 방향은 미묘한
차이
를 보인다. 가장 큰
차이
는 구글어스가 지도를 만드는데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사용하는 반면, 버추얼어스는 항공사진을 사용한다는 점이다.구글어스가 사용하는 위성영상은 지상사진 촬영용 위성이 한꺼번에 넓은 지역을 찍기 때문에 ... ...
디지털 캐릭터에 생명 불어넣는 CG 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등장하는 캐릭터가 100개면 리깅 작업을 100번 반복하는 셈이다.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차이
가 있지만 캐릭터 하나를 살아 움직이도록 만드는 데 길게는 일주일까지 걸린다. 다양한 동작까지 구현하려면 만만한 일이 아니다. ‘시간=돈’인 영화판에서는 더 빨리 더 간편하게 캐릭터를 만드는 쪽이 ... ...
바다를 누비는 수중 글라이더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장치가 없네요. 대체 어떻게 움직이는 건가요?나는 깊이에 따른 바닷물의 온도
차이
를 이용해 동력을 얻어요. 바다 표면 가까이의 따뜻한 물과 깊은 곳의 차가운 물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면 내 안의 왁스 튜브가 팽창했다 수축하며 펌프를 작동시키죠. 그 결과 톱니와 같은 궤적을 그리며 해수층 ... ...
Intro 석유시대 종말 연착륙을 위해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창조한 유전자 변형 대장균은 사탕수수나 사탕무의 당을 섭취한 뒤 진짜 석유와 거의
차이
가 없는 기름을‘배설’한다. 미국 국방부는 이렇게 만든 항공유를 자국의 전투기 연료로 쓸 계획이다. 이 기술이 상용화에 성공하면 석유는 더 이상 고갈되는 화석연료가 아닌 셈이다.“돌이 사라져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