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로호 2차 발사 실패, WHY ?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저건 새가 아니야. 나로 호라는 우주발사체지. 나로우주센터에서 소식을 듣고 왔는데,
조금
전 5시 1분에 발사된 우주발사체가 교신이 끊어지면서 이륙 한 지 2분 17.19초(137.19초)만에 폭발해 추락한 것 같대. 나로 호 주변에 모인 사람들 좀 봐. 아까는 숫자를 세며 환호하던 사람들 표정에 아쉬움이 ... ...
대칭 vs 비대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아랫잎이 받아야 할 빛을 윗잎이 가릴 때가 있다. 그러면 윗잎 사이로 들어오는 빛을
조금
이라도 받기 위해 아랫잎이 좌우가 비대칭적인 모습으로 모양을 바꾸게 되는 것이다.요정 여왕님은 내 설명을 듣고 고개를 끄덕였어.“비대칭이 무조건 나쁘다는 건 내 오해였군. 그런데 너는 누구지?”나는 ... ...
기상천외 드라큘라백작의 모기 퇴치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더 무서운 이 드라큘라님의 코털을 건드렸겠다? 내 이 모기 녀석들을 가만 두지 않으리!
조금
만 기다려라. 후회하게 해 주겠다! 가만 있자…, 그래! 모기라는 모기는 모두 다 잡아 준다는 모기박멸 전문가 모기스키 박사를 찾아가 봐야겠다! 모기 잡는 첨단 무기!똑똑똑…. 여기가 모기스키 박사님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름의 이 성의 꼭대기는 항상 정지궤도에서 지구와 함께 자전한다. 이 아이디어가
조금
더 구체적이 된 것은 1960년대였다. 러시아의 공학자 유리 아르추타노프는 정지궤도 위성에서 지상을 향해 케이블을 늘어뜨린다는 아이디어를 발표했다. 이 개념이 널리 알려진 것은 1979년 영국의 SF작가 아서 ... ...
바이오 이종 장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조금
골치 아프게 됐다. 병원에서 위암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수술은 1년 뒤 하기로 했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병원비 내역을 들여다보니 소문대로 돼지값 항목이 들어 있었다. 장기이식용 복제동물의 수정란 제작 및 출산, 사육비. 1년이 지나 이 돼지가 어느 정도 자라면 나는 튼튼한 새 위를 갖게 ... ...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물고기도 있었다.센터로 돌아와서는 흑진주 양식을 체험했다. 살아있는 조개(흑접패)를
조금
벌려서, 생식소 안에 담수조개로 만든 핵(구슬)을 넣었다. 그리고 양식장으로 돌려보냈다. 만약 핵 삽입이 성공했으면 1년 뒤에는 진주를 얻을 수 있다. 흑진주는 지름 1cm 짜리가 보통 40~50만 원이 넘는다. ... ...
인공지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등장할 것이다. 양 교수는 그 시점을 2020년 이후로 봤다. 그는 “어떤 기술이든
조금
씩 천천히 발전해 나가다가 어느 순간 대 변혁기를 맞는다”며 “가까운 시기에 변혁기를 맞을 수 있다면 2030년경에는 정말로 인간에 필적하는 인공지능이나올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이런 예상을 하는 전문가는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소는 탄소와 연결해 유기물을 만들고 산소는 대기 중으로 방출해 대기의 구성 성분을
조금
씩 변화시켰다. 두 가지 원인에 의해 산소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생명체도 커졌다. 산소는 전기음성도가 커 산화력이 크다. 산소가 화학반응에 참여하면 더 많은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래서 산소를 ... ...
마법의 빛이 이끈 새로운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온원의 성능 향상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박사학위를 받고 연구실을 졸업한 후,
조금
더 넓어진 시야로 바라본 플라스마 공학의 미래는 매우 밝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세계 핵융합 연구의 중요한 기반 장치가 될 KSTAR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최고의 반도체 기술력을 갖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 ...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로 늘리기도 했다. 하지만 스크램제트에 로켓 또는 터보제트 엔진을 결합한 복합 엔진은
조금
늦게 상용화될 예정이다. 현재 터보제트와 스크램제트 복합 엔진은 미국이, 로켓과 스크램제트 복합 엔진은 일본과 우리나라 등이 각각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20년 후 성능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