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의대수
대수
d라이브러리
"
일의
"(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많은 시간을 디지털 세상에서 보내는 만큼 디지털을 올바르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르는 일이 중요해요. 디지털을 이해하고 디지털 기술에 악용되지 않는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어과동에선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연재를 시작했지요.2화는 오프라인에서 하던 일을 ... ...
[수학뉴스] 화산폭발 규모, 우산 모양 화산재 구름으로 추정한다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지구의 지각에 에너지가 쌓이면 화산활동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과거에 존재했던 화산활동을 추적하면 우리가 밟고 있는 지각의 변화를 유추할 수 있죠. 로버트 콘스탄틴스쿠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 지구과학과 연구원팀은 화산이 폭발할 때 나타나는 우산 모양의 화산재 구름을 분석해 과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숫자 데이터들을 나열해두면 분석하기가 쉽거든요.사과와 오렌지로 다시 돌아가면 두 과
일의
색이나 모양 등을 나타내는 숫자 데이터들이 행렬 형태로, 다차원의 공간에 있습니다. 그런데 사과와 오렌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동그란 ... ...
[기획] 램지 수가 뭐길래 수학 난제로 불리지?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완벽한 혼돈은 가능할까요? 크고 무질서한 구조 속에서 작은 조화로운 부분을 항상 찾을 수 있는지 연구하는 분야를 ‘램지 이론’이라고 합니다. 1928년 영국의 수학자 프랭크 램지는 사람이 충분히 많다면 그중 서로 모두 아는 관계인 r명 혹은 서로 전혀 모르는 관계인 s명이 반드시 있다는 ‘램지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치열한 대학 입시 경쟁 때문에 문제 풀이로서의 수학만 접한 학생들이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수학 문제를 잘 풀지 못하거나 시험 점수가 낮게 나오면 수학에 흥미를 잃기 쉽죠. 무엇이든 잘해야 자신감이 생기고 좋아하기 마련이니까요. 그런데, 여러분! 수학은 원래 세상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 ...
폴리매스 정보통! 모두가 푹 빠진 폴리매스미궁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안녕~! 폴리매스의 생생한 소식을 전하는 나는 에프매스! 오늘 재미있는 소식을 전해주러 왔어. 폴리매스 미궁에 대해서는 다들 들어봤지? 수학동아에서 만들어 2020년 12월 16일 공개한 온라인 퍼즐 게임 말이야~. 나와 제로가 열심히 홍보한 덕분에 오픈 20일 만에 가입자가 1000명이 넘고, 문제 풀이 ... ...
[수학체험실] 퍼즐인 듯 퍼즐 아닌 퍼즐 같은 너~ 아르키메데스 퍼즐, 스토마키온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스토마키온은 어떤 퍼즐일까? 1998년 10월 미국 뉴욕의 한 경매장. 곰팡이로 뒤덮인 양피지 책 한 권이 무려 200만 달러(1월 18일 기준 약 22억 140만 원)에 낙찰됐다. 겉으로 보기에는 13세기경 한 수도승이 적은 교회의 기도문처럼 보였으나, 뭔가 기록했다가 지운 흔적이 있었다.책을 낙찰받은 수집가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지난호 에디터 노트의 열독률이 2.1%*로 과학동아 전체에서 가장 낮다는 제보를 받고 에디터 노트를 바꿨습니다. 아직은 어색한 사이인 새 편집장과 구성원의 가상 편집회의입니다. 실존인물이지만 캐릭터는 허구입니다. 4년 전 시도했다 손발의 지문까지 오그라든다는 비난을 받고 폐지됐지만, 한 ... ...
‘집콕’으로 다시 주목받는 '시민과학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범유행이 길어지면서 전 세계 사람들이 집 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는 일명 ‘집콕’ 문화가 퍼져가고 있다. 이에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 주요 연구기관도 현장 연구를 멈추고 재택근무를 시작하면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같은 초대형 연구계획에 제동이 걸 ... ...
4만 5500년 전에도 인류는 그렸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4만 5500년 전 그려진 것으로 확인된 인류 최고(最古)의 동굴 벽화로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리앙 테동게 동굴에서 발굴됐다. 지역에 사는 멧돼지를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위는 유럽에서 사냥 장면을 묘사한 가장 오래된 동굴벽화인 프랑스 라스코 동굴벽화 속 반인반수의 모습이다. 최대 2만 1000년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