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서
상하
d라이브러리
"
위아래
"(으)로 총 3,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인디아나 존스」「배트맨」「별들의 전쟁」을 본 사람은 이 글을 통해 자신들이 어떻게 속았나를 명백히 알게 된다.현실의 모든 움직임을 기록하고, 그것을 다시 재현하고 싶은 인간의 호기심은 문자와 회화를 탄생시켰고, 이것이 발전해서 사진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그후 인간의 욕망은 정지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겨울의 아름다움은 역시 온 천지를 하얗게 뒤덮은 눈의 세계이다. 나무마다 피어난 하얀 눈꽃의 모습은 보는 이로 하여금 절로 감탄사를 터뜨리게 할 정도다. 그리고 그 밤 하늘엔 또다른 꽃들의 세계가 있다. 결코 화려하지는 않지만, 땅의 아름다움에 뒤질세라 곳곳에 피어난 별꽃들의 아름다움은 ... ...
2 점보제트기가 떠서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액체나 기체가 힘을 가지는 것은 그 속의 분자가 끊임없이 움직이기 때문이다. 수세식변기에서부터 로켓에 이르기까지 분자의 힘을 이용한 도구를 살펴보자.오늘날 우리는 물이나 공기 등이 원소라고 하는 작은 단위로 구성돼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현대과학이 밝혀낸 이들 원소는 1백3종에 이 ... ...
하와이제도는 사라질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오아후섬의 경우 바다밑으로 사라져버린 땅이 현재 육지의 5배에 이른다.하와이제도는 과연 가라앉고 있는가.최근의 해양학연구는 하와이제도를 구성하는 20여개의 섬 중에서도 유난히 지면침강이 두드러진 오아후(Oahu)가 멀지않은 시일내에 엄청나게 크고 극적인 지각변동을 겪게 되리라고 예견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밤하늘 별을 보며 아름다움을 느껴보지 못한 사람은 거의 없으리라. 또한 학창시절 사랑의 감정을 별을 통해 전해 보지 않은 사람 또한 거의 없으리라. 우리네들 삶이 젊은 시절 그렇게 메마르지 않았다는 증거이리라. 그러나 나이를 먹게 되면서 어느 순간,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을 단지 ... ...
생활주변에서 소재 찾으면 누구나 발명가 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세계를 흥분시킨 획기적인 발명은 대부분 '콜롬부스의 달걀'처럼 고정관념을 깨뜨린 작은 시도에서 비롯됐다.오늘날 우리가 숨쉬고 있는 이 시대의 최대 특징은 발명시대라는 데 있다. 발명은 하루가 다르게 그 변화의 속도가 가속화되어 우리의 생활양식은 물론 의·식·주에까지 놀라운 변화를 가 ... ...
코브라의 새사냥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기껏해야 땅바닥에 기어다니는 코브라가 천방지축으로 날아다니는 새에게 일격을 가한다.문제(1) 식물중에는 곤충같은 작은 벌레를 잡아먹는 것이 있다. 이런 식물들을 식충식물이라 하는데, 이중 파리지옥은 어떻게 벌레를 잡을까?① 항아리 모양의 입을 벌리고 벌레가 그 속으로 떨어져 들어오 ... ...
햇볕없는 곳에서도 신나게 달리는 태양 에너지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배기가스를 전혀 내뿜지 않는 태양에너지자동차는 변속기도 없이 도로를 달린다.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는 1㎾/㎡에 이른다. 현재 이와 같은 태양에너지의 열을 발전이나 난방에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에 비해 태양에너지자동차는 태양광에서 얻는 에너지를 반도체인 태양광전지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12월의 밤하늘따스한 정이 그리워지는 계절이다. 하얗게 눈 덮인 산과 들을 바라보며 이 밤도 변함없이 빛나는 별들에게서 우리는 사랑과 정을 느낀다. 별들을 바라보며 잊고 지냈던 고향의 친구들, 그리운 이웃들을 떠올리며 한해 동안 무심했던 자신을 반성하기도 하리라….겨울 별들은 그 어느 ... ...
파타고니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다윈과 마젤란을 사로잡았던 파타고니아는 빙하와 고봉이 어우러져 태고의 신비를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우리에게는 너무나도 멀게만 느껴지는 남미대륙. 그 남미대륙에서도 남위 39°이남의 지역을 사람들은 파타고니아(Patagonia)라고 부른다. 면적이 한반도의 약4배(80만㎢)에 이르는 이 지역은 태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