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진실
실질
현실
실태
실천
d라이브러리
"
실제
"(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결국 타 버린다면, 지구를 태양에서 멀리 밀면 구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런 황당한 상상을
실제
로 연구한 과학자가 있다.2001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코리칸스키 교수팀은 태양 주위를 도는 소행성을 지구 근처로 끌고 올 수만 있다면, 태양계 중력에 변화가 생겨 지구를 태양에서 먼쪽으로 조금씩 ... ...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올가미를 제거해 왔다. 올가미는 사슴, 고라니 등 호랑이의 먹잇감을 앗아가기 때문이다.
실제
로 2002년부터 1만여 개의 올가미를 없앤 결과 호랑이가 늘어났다. 중국 훈춘 지역으로 호랑이가 돌아오기 시작한 것이다.*지금도 추운 산 속에서 시베리아호랑이 보호 활동을 벌이는 분들이 있어요. 자세한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던졌는데 왜 동전의 면을 고정해 놓고 주사위의 눈이 나오는 경우를 따지는 것일까?
실제
로 던질 때는 ‘동시에’ 던지지만 나올 수 있는 모든 경우를 헤아릴 때는 둘 중 한 가지를 고정시켜야 모든 경우를 빼놓지 않고 셀 수 있기 때문이다. “경기는 모두 몇 번 해야 합니까?”라는 물음에 “ ... ...
수를 알면 수학과 영어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
실제
로 보이진 않지만 머릿속에서 상상한 그림’이란 뜻이었고 14세기에 이후에는 ‘
실제
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란 의미로 쓰였다. 실수는 분수로 나타낼 수 있는 유리수와 분수로 나타낼 수 없는 무리수로 이루어져 있다. 실수를 유리수와 무리수로 나누는 기준이 되는 분수는 영어로 ... ...
타임머신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이와 같이 3차원의 물체를 평면에 나타낼 수 있게 해 주는 기법을 원근법이라 합니다.
실제
로는 평행하게 놓인 철길이 멀어지는 모습을 보면 저 멀리 한 점에서 만나는 것처럼 보이지요? 이렇게 멀어지는 평행선이 한 점에서 만나 사라지는 듯 보이는 현상을 이용한 방법을 일점원근법이라고 합니다. ... ...
햇빛으로 찍는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물체가 흡수하는 색과 반사하는 색은 *보색 관계에 있기 때문에 필름에 맺힌 상의 색은
실제
와는 반대입니다. 필름에 보색으로 맺힌 상에 빛을 쪼여 특수한 감광지에 인화하면 제대로 된 원래의 색이 나타난답니다 ... ...
여기는 해상교통관제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드디어 고대하던 관제센터에 가게 됐어요. 그 곳에서 우리는 관제팀장님의 도움으로
실제
VHF 관제 장비와 VTS시스템 장비를 볼 수 있었지요. 그리고 폐쇄회로와 레이더 시스템을 통해 멀리 인천항을 떠나는 대인호 발견! 두근두근, 아까 우리를 따뜻하게 맞아 주셨던 대인호 선장님과 무선 교신을 할 ... ...
가상현실 속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4호
화살표). 컴퓨터가 마커를 인식해서 가구를 합성한 거지. 가구를 움직일 수도 있어서
실제
로 움직이지 않고도 가구 배치를 미리 해 볼 수 있단다.가상현실 체험이 어땠어? 아직은 현실과 완전히 똑같지는 않지만 가상의 물체를 만지고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은 흥미진진했어.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 ...
전기가 흐르는 누드김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재미있네요. 그런데 이번에 개발된 나노전선과 나노튜브는 어디에 쓸 수 있는 건가요?
실제
김밥이 아니니 먹을 수는 없겠죠?하하! 당연하죠. 대신 차세대 태양전지를 비롯해 여러 가지 센서나 칩 등에 활용할 수 있어요. 특히 이번에 쓰인 펩타이드는 알츠하이머와 같은 퇴행성 질병과도 관련이 되어 ... ...
날씬한 몸매 가진 해면의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에 해당하는 유기물을 먹는 이 동물은 계산대로라면 3일마다 몸집이 2배로 커져야 하지만
실제
로는 전혀 커지지 않았다.관찰 결과 이 해면은 세포분열 주기가 5.4시간으로 매우 빨랐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이 과정에서 죽은 세포는 거의 없었다. 분열된 세포가 사멸하지 않는다면 해면의 크기는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