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새로운"(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이야기부터 하는 게 좋겠네요. 저는 수학을 좋아하는 아이였답니다. 특히 답안지에 없는 새로운 풀이를 만들어내는 일이 좋았어요. 남들하고 다르게 푸는 데서 재미를 느꼈습니다. 이렇게 수학을 좋아했던 저는 자연스럽게 수학과에 진학했습니다.수학 속에서 관심을 찾다수학과에서 공부하며 ... ...
- [Editor’s Note] 역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월, 다시 긴급 기획으로 다룬 게 올해 4월이었다. 곧이어 5월호에서는 유전 부호를 설계해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 합성생물학을 특집으로 소개했다. 굳이 분류하자면 각각 기계의 인간-되기, 생명의 기계-되기라고 부를 수 있는 주제였다. 그리고 이제 6월, 또 하나의 놀라운 흐름을 짚는다. 인간 안에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정보를 종합하면 자연을 좀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듯이, 세 신호를 조합하면 천문학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다중신호가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살펴봤다.1. 감마선 폭발의 비밀 밝혀낼까감마선 폭발은 우주에서 가장 강한 전자기파가 나오는 사건이다. 0.001초에서 30초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이산화탄소(CO2)가 아닌 탄소 하나에 산소 4개가 결합한 CO4 등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화합물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물질들이 만들어진 뒤 어떻게 변하는지 불과 1초 안에 일어나는 과정까지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연구자가 좋은 아이디어만 있으면 무궁무진한 응용연구를 할 수 있다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내추럴리스트’였다. 그리고 이 논문은, 다음 해의 두 논문과 함께 진화생물학에 새로운 혁명이 도래했음을 알리는 서막이 됐다.사회적 행동에 있는 4가지생물학에도 근본적인 법칙이 있을까. 흔히 논쟁이 벌어지는 질문이다. 여기에 대한 로널드 피셔의 답은 아마 이랬을 것이다.“물론이지. 내가 ... ...
- Intro. 인체 플랫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기계·전자 기술에 힘입어 인간과 닮은 기계를 개발하는 땔감이 됐다. 하지만 여전히 새로운 인간은 만들지 못했다.100년이 흐른 지금, 기술의 발달은 다시금 본래의 욕망을 향한다. 생명공학, 로봇공학, 인공지능, IT 등이 융합하면서 기계의 인간화가 아닌, ‘인간의 기계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 ... ...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있고 외형이 유사한 쌍둥이라 하더라도 C를 A로 볼 수는 없다. 또한 A가 자신의 뇌 정보를 새로운 육체에 이식한 것이라고 보더라도 이를 A로 볼 수는 없다. 결론적으로 C의 주장은 부당하고, C에게 노벨물리학상 시상을 거부한 노벨 재단의 조치는 정당하므로 C의 청구를 기각한다. ▼관련기사를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003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에서 새로운 인류 화석이 발견됐다.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라는 이름이 붙은 이 종은 키가 1m, 뇌 용량이 현생인류의 3분의 1에 불과한 호미닌이었다. 많은 학자들은 그 작은 크기에 경악했고, 일부는 ‘현생인류의 기형 아니냐’는 터무니 없는 주장을 했다(물론 금방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모든 살아있는 영장류들은 살벌한 생존게임의 최종 승자다. 이들은 지금도 계속해서 새로운 도전자들을 상대로 치열하게 방어전을 펼치고 있는 위대한 존재다. 먹이를 둘러싼 이들의 고도의 차별화 전략은, 오늘날 자신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는 우리 인간에게도 훌륭한 ... ...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느슨한 정도의 규율일 뿐이고요. 어떤 건 구체적으로 접근해서 법제화해야만 사회의 새로운 문화로 흡수시킬 수 있습니다.”백 교수는 현재 ‘포스트휴먼 사이언스’라는 총서를 준비 중이다. 포스트휴먼 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개괄을 다룬 제1권과,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된 기술, 법률, 철학을 ... ...
이전2993003013023033043053063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