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조
대비
견줌
비유
비김
비교분석
분석
d라이브러리
"
비교
"(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다면체 오형제의 위대한 탄생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공으로 쓰기엔 더 좋아 보이는데요.선생님 : 그럼 한 꼭짓점에 모인 각의 크기를
비교
해 봐요. 각의 크기가 어떨 때 구에 가깝다고 할 수 있을까요?소망 : 크기가 클수록 구에 가깝겠지요.선생님 : 그렇죠. 이렇게 한 꼭짓점에 모인 각의 크기를 입체각이라고 해요. 다음 정사각뿔의 동그랗게 표시한 ... ...
경험을 측정하는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기능과 서비스, 그리고 사용 인터페이스 전반에서 우리가 만든 TV가 경쟁 제품과
비교
해 매우 뛰어난 것으로 평가했다. 사용자의 행태를 조사한다며 현장을 뛰어다니고, 디자인의 콘셉트를 정하기 위해 회의를 거듭하던 1년간의 고생이 순식간에 보상받는느낌이었다. 몸은 비록 힘들었지만 경험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좀비 마니아들이 말하는 ‘분노바이러스’다. 흔히 분노바이러스를 광견병 바이러스에
비교
한다. 좀비가 사람을 물면 분노바이러스가 옮겨져 물린 사람도 좀비가 되는데, 광견병 개에게 물리면 사람도 광견병에 감염되기 때문이다.광견병 바이러스에 감염된 개나 사람은 물을 무서워하기 때문에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사람들은 사소한 일에도 쉽게 짜증을 낸다. 하지만 물은 전혀 그렇지 않다. 다른 물질과
비교
했을 때 물은 놀라울 정도로 열을 덜 받는다. 그 이유는 물의 비열용량이 큰 덕분이다. 비열용량은 어떤 물질의 온도를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이다. 비열용량이 크면 열을 가해도 쉽게 달아오르지 ... ...
승용차의 4배가 넘는 가공할만한 F1 머신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부분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엔진 전체를 알루미늄과 티타늄으로 만드는 F1 머신과는
비교
가 되지 않는다.문제는 열이다. F1 머신처럼 빠르게 질주하는 엔진은 열이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배지보드와 사이드포드처럼 엔진의 열을 식히기 위해 차가운 공기를 흘려보내 주는 부품들이 머신에는 ... ...
꽃잎에 숨어 있는 과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색이 나타나는 원리에 관해 살펴보자. Q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빛이란
비교
적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로 과거에는 가시광선만 빛이라고 생각했으나 현대에는 빨간색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적외선(750nm~1mm)과 보라색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자외선(10~390nm), 자외선보다 파장이 더 ... ...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플라스틱’ 방향으로 7번! 그곳에 나온 수치와 왼쪽 페이지에서 당신이 얻은 수치를
비교
해 주세요. 게임 도구에 나온 수치는 우리나라 국민 한 사람이 하루에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의 평균 무게입니다.자, 당신의 값이 이 수치보다 크다면, 안타깝게도 탈락입니다. 물론, 한 번 더 기회를 드릴 수 ... ...
1 수학책과 친해지기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어떨까? 교과서와 달리 어떤 책은 전체를 함수 이야기로 꾸미기도 해. 직접 내용을
비교
해 볼까? 교과서에서는 x 와 y 에 대해 이야기를 하며 ‘변수’에 대해 가장 먼저 소개해. 그런데 같은 제목의 수학책은 ‘평소에 경험하던 이런저런 일들이 알고 봤더니 함수더라’라는 이야기가 먼저 나와 ... ...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전송한다. 중앙컴퓨터는 센서가 보내는 측정값과 자기장의 경계에 해당하는 값을
비교
해 공이 골라인을 통과했는지 알아낸 뒤 심판에게 전달한다.오차 범위를 묻는 기자의 이메일에 카이로스 테크놀로지의 올리버 브라운 이사는 “카이로스 시스템은 일본에서 열린 2007 피파 클럽월드컵에서 시험한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묻자 개발을 담당한 신진옥 생기원 박사의 표정에 불쾌한 감정이 스쳐 지나갔다. 아예
비교
할 대상이 아니라는 듯 힘주어 설명을 시작했다.“로봇이라는 이름을 쓰려면 스스로 판단하고 움직일 수 있는 자율기능을 갖춰야 합니다. 사람의 손으로 모든 것을 조작하는 RC헬리콥터와 모든 기능을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