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순풍
욕구
소원
바람구멍
구멍
구녕
d라이브러리
"
바람
"(으)로 총 3,467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않는다. 매킨토시의 편리한 GUI에 자극을 받은 IBM계열의 컴퓨터에도 요즈음 이 GUI의
바람
이 불고 있다.MS-DOS를 만들어낸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즈라는 프로그램과 IBM에서 만든 S/2 등이 대표적인 GUI 프로그램이다 ...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성공했다. 두 우주선은 이로부터 4년 동안 화성에 머물면서 표면온도 대기밀도
바람
속도 토양분석 등 각양각색의 실험을 수행해 그 결과를 지구로 전송했다. 특히 이들은 화성에 과연 생명체가 존재하는가를 알아내는데 주력했으나 결과는 'NO' 였다. 바이킹 1,2호는 이미 생명이 다했으나 (임무 수행 ... ...
지름 12㎝원반에 책6백권 정보기억하는 전자책 CD롬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구입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다."5년 이내에 대중화될 것"국내에는 올들어 CD롬
바람
이 불고 있다. 지난 88년 포항공대에 CD롬 드라이브가 처음 도입됐으나 지난해말까지 CD롬 드라이브의 설치대수는 8백여대에 불과했다. 올들어 연구소와 기업 도서관 등에서 CD롬 도입이 폭발적으로 늘고 ... ...
486PC
바람
이 분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모델의 생산라인은 월 1만대 이상 생산할 수 있는 시설규모를 갖추게 된다.286 PC에 대한
바람
은 91년 하반기부터 불어오기 시작했다. 그때는 XT급이 막 단종되는 시기였다.때문에 언제나 채산성을 계산해서 이익을 뽑을 수 있을 때까지는 계속 현재의 생산체제를 유지하려 드는 것이 대기업의 생리다. ... ...
Out Of The Sun 태양으로부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한다.태양
바람
의 연구는 과학자들로 하여금 다른 별들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태양
바람
같은 이온화된 가스가 우주의 현재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물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우주 그 자체를 이해하는 것도 쉬워질 것이다.태양으로부터 나오는 입자중 하나는 매우 작으면서도 언제나 큰 ... ...
공룡시대 지구를 뒤덮었던 양치식물 생태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조심조심하면서 먹을 것을 찾는 거미같이 보인다.거미일엽이 걸어 다닌다면 일엽초는
바람
을 타고 이동해 나무등걸이나 암벽에 자리잡는다. 잎이 갈라지지 않고 단순하며 한개씩 돋는다고 해서 일엽초란 이름이 붙었다. 일엽초중 한 곳에 정착한지 오래된 것은 꽤 넓은 군총을 형성하고 자라면서 ... ...
3 우주 이용한 첨단산업에 앞장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개발된 종합원격탐사 위성인 ERS-1은 각종 전자파 측정센서를 장착하여 해면의 높이, 해양
바람
의 방향 및 세기, 빙하의 생성년도 등 지구를 연구하는 위성으로서 현존하는 원격탐사위성 중 가장 앞서 있다.콜럼버스계획과 에르메스유럽우주기구의 2000년대 목표는 유인과 무인우주정거장을 건설하여 ... ...
북극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빠질 위험이 있으며 흐린 날에는 시야를 상실해 거리나 지형을 구별할 수 없다. 심한
바람
에 눈이 날려 불과 몇m 앞이 보이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다. 북극의 원주민들그 외에도 빙원-얼음-맑은 대기-흐린 하늘-태양 등이 연출하는 대자연의 신비를 종종 관찰할 수 있다. 20세기 들어서 인구가 ... ...
죽어서도 영원히 사는 미이라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것이다. 이들 묘의 건립은 내세에서 영원한 삶을 누리려는 사자의 개인적이고 종교적인
바람
때문이었다. 라메시드의 파피루스에서는 당시의 도굴범과 잡힌 도굴범에 대한 처벌이 기록돼 있다. 그러나 도굴범에 대한 피해가 매우 극심해 무덤을 만들 때마다 이들을 속이기 위한 교묘한 수단이 ... ...
「간이 인공위성」으로 부각되는 무인비행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가스만 채워넣고 공중에 띄우기만 하면 되므로 기술적으로 큰 문제는 없다. 그러나
바람
이나 기타 기상조건에 따라 기구가 이리저리 움직여 제자리를 찾아주어야 하므로 어려움이 따른다. 고감도 센서가 필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센서로 위치 변화를 감지했으면 곧바로 원래 위치를 찾아가야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