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고강도 액체금속 개발한 청국장 마니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지난 2005년 플러리 박사팀과 고려대 이재철 교수팀, 포항공대 이병주 교수팀은 공동연구
끝
에 기존의 액체금속이 가진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고강도 액체금속을 개발했다. 고강도 액체금속은 얼마나 큰 힘을 버틸까.원자 배열 구조가 규칙적인 강철은 압력이 최소 600MPa(대기압의 600배)일 때 ... ...
태평성대 부르는 신명나는 소리 태평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서는 불규칙한 파동 중 특정 진동수의 파동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관대
끝
에는 놋쇠나 구리, 주석으로 만든 나팔모양의 ‘동팔랑’이 있다. 태평소의 소리가 큰 이유는 바로 동팔랑 덕분이다. 동팔랑은 같은 진동수를 갖는 파동을 중첩시켜 소리를 크게 하는 공명현상을 일으킨다. ... ...
망원경과 빛의 회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슬릿을 통과한 빛은 밝고 어두운 부분이 교차하는 회절 무늬를 만든다. 회절무늬는 슬릿의 열린 틈 양
끝
으로부터의 거리 차와 빛의 파장과 관계된다. 망원경은 빛의 회절현상 때문에 분해능이 낮아진다. ...
별빛
끝
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공통점이 없는 아홉 개의 행성은 하나의 태양을 공전하고 있으며 그 중력에 묶여 있다.
끝
도 없이 드넓은 우주에서 미약한 태양의 중력에 이끌려 함께 배회하는 태양계의 행성들은 마치 하나의 가족 같다. 외계 탐사 1990년 2월, 미국항공우주국의 과학자들은 ‘과학과는 전혀 무관한 이벤트’를 ... ...
잠자는 명화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유화로 그리고, 연필이나 색연필로 데생도 하고 템페라화로도 그리는 식이다. 3년 과정이
끝
나면 2년의 인턴 과정을 거쳐 국가 공인 자격증을 받는다. 5년 과정인 국립대와 달리 사립대는 3년 과정이므로 졸업한 뒤 별도로 2년 간 인턴을 해야 한다. 국가 공인 자격증을 받게 되면 국가에서 진행하는 ... ...
건축구조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구조설계를 하고 싶다면 구조설계사무소에 취업해 건축가가 설계한 건축물을 처음부터
끝
까지 본인이 구조설계를 할 수도 있다.취재 한마디우리가 초고층빌딩에서 편안하게 지낼 수 있는 이유는 건축물에 안전과 기능성을 부여하는 건축구조시스템공학 덕분이다. 앞으로도 새로운 재료 개발과 ... ...
방송국에 숨어 있는 빛과 소리의 마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길을 가다 우연히 만난 드라마 촬영장을 떠올려보자. 카메라에 잡히지 않게 기다란 장대
끝
에 달아 배우들 위로 붕 띄운 털 뭉치는 바로 붐 마이크다. 붐 마이크는 다른 마이크에 비해 지향성이 높아 배우의 목소리를 잘 잡는 대신 자동차 소리나 바람 소리 같은 잡음도 잘 들어간다. 그래서 ... ...
The Next Sudoku?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나는 꽤 바쁜 사람이기 때문에 더 이상 많은 퍼즐책을 풀지 않습니다. 맨 앞장에서
끝
까지 푸는 일은 더더욱 없지요.” 윌 쇼츠가 1년 반 전 켄켄에 중독된 경험을 얘기한다. “나는 무조건 그걸 사랑하게 됐어요.” 그는 그가 일하는 신문사를 설득해 지난달부터 이 게임을 신문에 실었고 최근에는 ... ...
동물원의 열혈 엄마, 사육사 배경구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이런 미어캣이 눈에 띄자마자 바쁘게 움직였다. 어떻게 ‘임신부’를 돌볼까 궁리하던
끝
에 미어캣이 ‘태교’에 집중할 수 있는 독립 공간을 만들기로 했다.“미어캣은 보통 20마리가 한꺼번에 생활합니다. 임신한 어미라면 편안히 쉬고 싶은 게 당연하죠. 그런데 미어캣 무리가 우루루 몰려다니는 ... ...
나노로봇 움직이는 나노발전기의 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이 나노선들은 지름 20~40nm에 길이 200~500nm로 다양하게 뻗어 있었는데, 원자현미경의 탐침
끝
으로 하나씩 건드리자 압력을 받아 3~6mV의 전기가 발생했다. 바로 산화아연 나노선에서 압전효과를 확인한 것.이듬해에는 산화아연 나노선을 이용한 나노발전기를 개발해 ‘사이언스’ 4월 6일자에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