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9,244건 검색되었습니다.
방정식 다시 보기!
수학동아
l
201105
만들기박광순 선생님은 수학 공부의 완성은 스스로 문제를 만들어 보는 것이라고 조언
해
주셨어요. 다음 예시를 보고, 수학동아 독자 여러분도 나만의 수학문제를 만들어 보세요! 예시 다음 그림에서 가로줄과 세로줄에 놓인 네 수들의 합이 서로 같을 때, a의 값을 구하여라.풀이먼저 네 칸에 모두 ... ...
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
과학동아
l
201105
존경받아 마땅한 분들입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
결사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Part 2. 모든 길은 화학으로 통한다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 ...
Part 2. 똑똑
해
서 슬픈 베르테르들
과학동아
l
201105
최근 서남표 총장이 “
해
외 우수 대학에서도 자살하는 사람이 많다”며 “MIT(매사추세츠 공대)에 비하면 카이스트 학생들은 공부의 양이 적다”고 말
해
논란이 됐다. 실제로 미국 ... 보시려면?Intro. 누가 영재들을 죽음으로 내몰았나Part 1. 대한민국 영재들이 사는 법Part 2. 똑똑
해
서 슬픈 ... ...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05
한국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 천리안이 4월 공식 임무를 시작했다.다음 달이면 천리안 위성이 우주로 떠난 지도 1년이 돼 간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지구 상 ... 유지하기 위
해
위성의 궤도와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우주 전문가들의 노력도 다시 한 번 생각
해
보는 것은 어떨까 ... ...
저질체력 운동 시작하는 법
과학동아
l
201105
배구 경기를 한다. 운동을 ‘억지로
해
야 하는 수업’이 아닌 ‘즐겁게 놀면서 건강
해
지는 방법’으로 받아들인다는 얘기다. 서 원장은 “특히 개인 운동에 재미를 못 느끼는 사람들은 축구나 야구, 농구처럼 여러 명이 함께 하는 단체 운동을 하면 좋다”고 말했다. 운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기 ... ...
과학기술인을 ‘발명부자’로
과학동아
l
201105
과학기술인이 택할 수 있는 직업에 꼭 연구자나 개발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공계 지식을 기반으로 대중과 소통하는 과학기자나 프로듀서도 있고, 작가나 번역가도 ... 더 큰 이익을 창출할 수 있으니까요. 직무발명은 회사와 과학기술 종업원 모두가 행복
해
질 수 있는 윈윈제도입니다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05
로버트 루카스 교수팀 역시 포스터 교수의 발견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를 지난
해
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멜라놉신을 만들지 못하는 쥐(따라서 ipRGC가 제기능을 못한다)에서 배외측슬상핵에 있는 뉴런의 절반 정도가 빛자극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 ...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
과학동아
l
201105
자신의 생각을 논리정연하게 설명
해
야 한다는 것이다. 여러 자료를 단순히 모아놓기만
해
서는 안 된다. 또 인터넷이나 책에서 자료를 가져올 때는 출처를 꼭 밝히도록 한다 ... ...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05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
결사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Part 2. 모든 길은 화학으로 통한다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 ...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
과학동아
l
201105
얻는 것이 더 경제적이기 때문에 먹는 것을 금지
해
왔다.인간이 필요에 의
해
가축을 선택
해
기른 것 같지만 동물 역시 스스로 가축으로 다가온 면도 있다. 분명한 것은 지난 1만 년 동안 가축이 없었다면 인류는 지금과는 아주 많이 달랐을 거라는 점이다.우리는 이제 가축 때문에 행복하지만 가축도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