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d라이브러리
"
원리
"(으)로 총 4,105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유인력
과학동아
l
199811
중력의 보편성아리스토텔레스는 물체들에게 중심을 향하는 성질을 부여함으로써 낙하의
원리
를 설명했다. 흙으로 이뤄진 우주의 중심으로 흙의 성분인 물체들이 본래의 위치인 우주의 중심으로 향하려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우주의 중심인 지구가 물체를 당겨서 일어나는 힘이 아니라 물체에 ... ...
1. 진화론의 전주곡
과학동아
l
199811
되는 날이었다. “생물은 환경에 적응하는 종만이 살아남아 발전한다”는 적자생존의
원리
를 바탕으로 다윈이 ‘종의 기원’(The Origin of Species)을 1859년에 출판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밑받침할 과학적 근거를 비글호로 타고 상륙했던 갈라파고스제도에서 얻었다고 한다 ... ...
삭지도 않고 썩지도 않는 닥나무 한지
과학동아
l
199810
골고루 내리치는 공정을 말한다.이는 무명옷에 쌀풀을 먹여 다듬이질하는 것과 동일한
원리
이다. 이 도침기술은 우리 조상들이 세계 최초로 고안한 종이의 표면 가공기술이다.중국산에 밀려나는 전통 한지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책 직지에 쓰인 우리의 종이, 1천수백년의 세월을 견뎌낸 우리의 ... ...
추석 차례상
과학동아
l
199810
이라고 한다. 차례 하면 복잡하고 지켜야 할 규칙도 많은 것으로 생각하나 그 유래와
원리
를 가만히 살펴보면 조상들의 지혜를 느낄 수 있다. 음양오행 표현한 차례상우선 차례 상차림을 보면 5열로 진설돼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열은 과거의 조상들이 먹어왔던 음식을 순서대로 표현했다고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10
떨어뜨리기 위해 몸에서 땀을 방출시킨다. 땀이 수증기로 변하면서 피부의 열을 빼앗는
원리
다. 하지만 밀폐된 방에서 수증기가 꽉 차면 몸의 땀은 더이상 수증기로 변할 수 없다. 그 결과 체온은 서서히 올라가 목숨을 위협하기 십상이다.18세기의 상황과 달리 제2차 세계대전에는 높은 온도가 ... ...
핵융합 장치 실현하는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199810
옛소련말로서, 전기를 띤 상태인 플라스마의 운동을 자기장으로 구속시킨다는게 기본
원리
다.2002년 완공될 예정인 한별의 목표는 3억도의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를 3백초 동안 지속시키는 것이다. 플라스마의 생존 시간으로 볼 때 선진국 시설의 30배나 된다. 그만큼 핵융합 발전을 위한 기술개발이 ... ...
솔잎 넣고 송편을 찌는 뜻은
과학동아
l
199810
세균이 범접하지 못해 오래도록 부패하지 않고 먹을 수 있었으니, 실로 과학적인
원리
를 잘 이용한 것이 솔잎 송편이었던 것이다.숲 속의 많은 나무들이 저마다 피톤치드를 내는데, 그 중에서 소나무는 보통나무보다 10배 정도나 강하게 발산한다고 한다. 옛 어른들이 “퇴비는 소나무 근처에서 ... ...
달리는 자전거는 쓰러지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809
않으면 보존된다. 이는 물체의 운동량 변화는 반드시 힘이 있어야 하는 것과 같은
원리
다. 회전하고 있는 팽이에 작용하는 힘은 수직방향의 중력으로 회전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힘이 아니다. 따라서 회전축을 바꾸지 않으려는 관성을 갖게된다. 이를 물리 용어로는 '각운동량 보존 법칙'이라고 한다 ... ...
식물 고통 덜어주는 아스피린
과학동아
l
199809
아스피린을 투여하면 이 물질이 억제돼 고통이 줄어든다고 알려졌다. 과학자들은 이런
원리
로 식물의 고통도 덜어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고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 즉 아스피린은 식물이 물리적 손상을 입었을 때 생성되는 화합물의 생성도 억제한다는 것이다.식물의 경우에도 아스피린은 ... ...
2. 기상예측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809
과정이 반복되는 대기의 복잡한 난류성 운동계에서도 시간과 에너지간의 불확정성
원리
가 적용된다고 보았다. 즉 폭우성 비구름이 발달하는 시점을 정확히 관측하려면 그 운동의 에너지 또는 강도에 대한 관측오차가 커진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그 운동의 강도를 정확히 관측하려면, 이번에는 그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