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스페셜
"
과학
"(으)로 총 8,17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게시판] 과기한림원, 탄소중립 구현 온라인토론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변경됐다. ‘보배할배’와 ‘토토카’ 보조 캐릭터 2종도 함께 제작됐다. ■광주
과학
기술원(GIST)은 지난달 22일 캄보디아 환경수 산하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사무총장국과 정수기 보급을 위한 기술지원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6일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으로 캄보디아 농촌 마을에 중력식 ... ...
[강석기의
과학
카페]이명과 환청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2021.04.0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츠르륵 츠르륵...’ 두 달 전 어느 날 자려고 누웠는데 문득 시골 가을 밤 풀벌레 우는 소리가 들렸다. ‘겨울에 무슨 풀벌레?’ 이상하다 ... 《생명
과학
의 기원을 찾아서》가 있다. 번역서로는 《반물질》, 《가슴이야기》, 《프루프: 술의
과학
》을 썼다. ... ...
중국
과학
논문수와 인용수 미국 제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비해 기업이 체감하는 국가 경쟁력 순위는 30위권으로 낮게 나타났다”며 “
과학
기술성과의 실질적인 경제적 성과로 연계와 환경 조성에 노력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 ...
WHO 모스크바사무소 "인간이 동물에게 코로나 전파"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대로 송대섭 고려대 약학과 교수는 지난달 9일 국민생활
과학
자문단 주최 포럼에서 “실험에서는 동물이 코로나19에 감염되고 증상을 보여도 현실에서는 인간에게 전파를 시킬 정도는 아니다”며 “설령 감염됐다 하더라도 다시 사람에게 이를 옮길 가능성은 매우 ... ...
[
과학
게시판] ETRI, 창립 45주년 온라인 기념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이외에 대표 수상자만 참석하고 원내 인터넷으로 생중계됐다. ■
과학
기술정보통신부
과학
기술혁신본부는 내년 신규 연구개발 사업을 대상으로 국가 연구개발 투자방향에 맞춰 기획에 도움을 주는 ‘찾아가는 기획컨설팅’을 실시한다고 5일 밝혔다. 가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중심 민간 ... ...
가장 위험한 인수공통 바이러스는 라사열 바이러스…코로나19는 2위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해당한다. 연구를 이끈 요나 마제트 UC데이비스 교수는 “스필오버 사이트는 전 세계
과학
자들이 실시간으로 참여해 바이러스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오픈소스”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바이러스의 위협을 조기에 식별하고 글로벌 협력이 이뤄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햇빛 차단해 온난화 막는 세계 첫 ‘기후조작’ 시험 제동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불구하고 지구공학 기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계속 제기되고 있다. 미국 국립
과학
·공학·의학아카데미(NASEM)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바이든 행정부가 향후 5년간 지구공학 연구에 2억 달러(약 2200억 원)를 투입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기후변화의 위협에 ... ...
"호주 산불, 기후변화가 원인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포함한 동아시아지역에서 발생하는 엄청난 양의 온실가스과 에어로졸 등에 대한
과학
적인 감시가 강화되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미래 기후 변화에 대한 통합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백신 맞기 전 알레르기약 복용하면 덜 아플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맞으면 알레르기가 일어날지, 안 일어날지를 모르는데 약을 먹고 주사를 맞는 것은
과학
적인 근거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이런 점을 들어 백신을 맞기 전 알레르기 약을 먹는 것을 권하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다만 주사를 맞고 난 뒤 맞은 부위에 발적이나 두드러기와 같은 ... ...
독도 바다에서 비늘베도라치 미기록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분석 결과는 한국어류학회지 최신호에 실렸다. 동해비늘베도라치의 모습. 한국해양
과학
기술원 제공 비늘베도라치는 몸은 가늘고 좌우로 납작한 모습이다. 연안 암반 구멍이나 고둥 패각 등에 숨어 지낸다. 전 세계적으로 약 120여 종이 분포한다. 이중 상당수가 절멸종, 멸종위기종 등으로 지정돼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