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스페셜
"
가운데
"(으)로 총 3,43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때문일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이들의 연구에 대해 ‘셀 줄기세포’ 논문의 저자
가운데
한 사람인 컬럼비아대 르네 헨 교수는 “성인 신경생성이 너무 미미해 어떤 중요한 기능을 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건 우려스러운 결과”라면서도 “이들의 실험에 오류가 있을 여지가 많다”고 덧붙였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
2018.04.03
높이는 걸로는 부족해서 복제수를 늘려 효소를 더 많이 만들기 위해서다. 영장류
가운데
인류만 AMY1 유전자가 여러 개다. 자연선택의 치열한 생존경쟁에서 아밀라아제 유전자 개수가 늘어났다는 건 그만큼 긴요하다는 뜻이다. 즉 녹말이 풍부한 음식을 많이 섭취하게 됐기 때문에 이를 최대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대식세포(왼쪽)가 안료(녹색)를 머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유형의 대식세포(
가운데
)나 수지상세포(오른쪽) 내부에는 타투 안료가 없다. - ‘실험의학저널’ 제공 연구자들은 이번 발견이 레이저 시술로 문신을 지울 때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즉 레이저 펄스에 대식세포가 죽고 문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양극재의 핵심원료인 리튬(왼쪽. 기름에 넣은 상태)과 코발트(오른쪽). 둘
가운데
어느 쪽이 더 귀한 대접을 받을까? - 위키피디아 제공 코발트 프리 아직은 무리... 먼저 재활용(recycling)을 생각할 수 있다. 배터리는 폐쇄 시스템이므로 특별한 문제가 생기지 않는 한 배터리 속 리튬과 코발트는 ... ...
태초 특이점,블랙홀 이론...스티븐 호킹이 남긴 학문적 업적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여기서 특이점이란 물리학의 모든 법칙이 전혀 맞지 않는 시공간으로 블랙홀 한
가운데
와 같은 곳이다. 빅뱅우주론을 받아들인 연구자들조차도 태초가 시공간의 특수한 점이라는 것을 납득하지 못하고 있었다. 1983년 무경계 우주론을 제안해 특이점에 대한 설명을 내놓은 것도 호킹이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호킹은 일반인들이 관심을 가질 주제에 대해 의견을 내는 걸 주저하지 않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시간여행이다. 호킹은 자서전에서 “시공의 배경에서 일어나는 양자요동은 미시 규모의 웜홀과 시간여행을 창조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거시적인 물체는 과거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쓴 글이다. 여기서 그는 공감각과 관련된 아버지와의 일화를 몇 가지 얘기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특히 흥미롭다. 확실히 나보코프는 과학자로서 기본이 돼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공감각 소유자의 색 연결은 일생을 통해 일관되게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의 경우 이에 대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기여도가 높은 이유다. 그 뒤 키요미를 기본으로 해서 다양한 품종이 나왔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폰칸과 교배해 얻은 데코폰(Dekopon)으로 1990년대 우리나라에 들여오면서 한라봉이라는 한국식 이름을 붙였다. 한편 천혜향 역시 1984년 일본에서 개발한 품종이다. 키요미를 앙코르(Encore)만다린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최초의 네안데르탈인 벽화 발견, 그리고 그 이후
동아사이언스
l
2018.02.25
동굴벽화 주인공으로 밝혀져 스페인 동굴에서 발견된 손바닥 스텐실. 세 개의 스텐실
가운데
하나는 적어도 6만 6000년 전 작품으로 밝혀졌다. 사진 제공 사이언스 ●네안데르탈인은 정말 예술가였나… 격해지는 논쟁 그런데 발표된지 며칠 지나지 않은 이 연구 결과를 둘러싸고 후속 논쟁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고지방 다이어트’를 계기로 이를 다루는 글을 준비하면서 지방을 옹호하는 과학자들
가운데
너무 간 사람들도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들었다. 예를 들어 신경과 전문의이자 미국영양학회 회원인 데이비드 펄머터는 2013년 펴낸 책 ‘그레인 브레인’에서 “인류는 오랜 진화 기간 동안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