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전
움직임
이사
운동
양도
전위
전임
d라이브러리
"
이동
"(으)로 총 5,192건 검색되었습니다.
철새의 눈은 자기장을 본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시상 부위에 추적물질이 전달됐다. 그리고 뇌의 ‘클러스터 N’이라는 부위로 정보가
이동
했다. 클러스터 N은 철새가 방향을 인식할 때 활성화되는 부위다.무리슨 교수는 “철새가 자기장을 인식하는 ‘망막-시상-클러스터 N’의 경로는 인간이 시각 정보를 인식하는 경로와 일치한다”며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간주한다난자와 정자가 수정되어 수정란이 되면 곧 세포분열을 개시하고 자궁 내로
이동
을 시작한다 이 수정란이 자궁내막에 이르러 점막 내에 묻히면 모체와의 관계를 이루게 된다 이것을 착상이라 한다 수정부터 착상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약 10일이며 착상 후에는 본격적인 발육을 시작하여 ... ...
주사기여 안녕~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통해 장치 안으로 들어온다. 그러면 장치 중간의 피스톤이 약물이 들어있는 쪽으로
이동
하며 약물이 작은 구멍을 통해 방출된다.하지만 약물이 방출되는 속도가 일정치 않아 초기에는 약물이 지나치게 많이 방출되는 경우가 있다. 필자와 포스텍의 김진곤 교수팀은 nm(나노미터, 1nm=${10}^{-9}$m)크기의 ... ...
가을 밤하늘 '외계인의 고향' 찾기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더 관측해 보자. 세레스는 충의 위치에 있을 때 하루 사이에 대략 달 시직경의 절반만큼
이동
한다. 따라서 2~3일만 관측해도 주변별과 세레스를 구별할 수 있다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레이저펄스를 이용한 다차원분광학으로 식물 광합성 초기단계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이동
과정을 연구한 결과를 2005년 ‘네이처’에 발표했다.“모든 에너지의 근원은 태양이고 그 에너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생명체는 식물입니다. 식물은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하는 높은 효율의 ... ...
젊은 운동선수 노리는 '암살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시간(약 24s) 녹음하여 이것을 되풀이 재생하면서 원반의 회전에 따라 중심 주파수가 차츰
이동
하는 헤테로다인형 가변대역필터를 통해 그 출력을 원반과 직결된 원통에 감긴 방전기록지에 기록한다공기 속을 전해지는 소리의 빠르기는 온도의 영향을 받으며 0℃에서 매초 3315m, t℃의 음속 v는 v=3315+0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360。회전하는 거대한 스크류가 6개 달린 지큐호는 정확한 시추 지점을 향해 전후좌우로
이동
할 수 있다.02 지큐호에서 채취한 시료는 가장 먼저 CT(컴퓨터단층촬영) 스캐너로 내부 구조가 밝혀진다.03 X선형광분석기(XRF) 로는 시료의 성분을 즉시 알아낼 수 있다.무한경쟁하는 지큐호의 ... ...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발사된 적외선 천운관측 위성아이라스(IRAS ; Infrared Astronomy Satellite)가 4월 25일
이동
하는 천체를 발견했고 이어서 5월 4일 일본의 아라키 겐이치(荒貴源一)와 영국의 J 알코크가 발견한 7등의 새 혜성이 그것과 같은 것임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아이라스-아라키-알코크라는 이름이 붙었다 강한 ... ...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소형위성 역시 중대형위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소형위성은 지구관측, 저궤도 위성
이동
통신, 우주과학실험처럼 거의 전분야에 응용된다.아직 소형위성이 대형위성의 성능을 100% 동일하게 구현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우주에서 지구 구석구석을 정찰하는 분야에서는 해상도가 15cm 수준인 19톤짜리 ... ...
HDTV 다음은 3DTV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가리고 어떤 물건을 본 뒤 다른 눈을 가리고 동일한 물건을 보자. 그러면 그 물건이 조금
이동
한 것처럼 보인다. 이를 ‘양안시차’(兩眼視差)라고 한다. 우리가 사물을 입체로 느끼는 이유는 이런 양안시차 때문이다. 만약 인간의 두 눈이 금붕어처럼 머리 양쪽에 있다면 왼쪽과 오른쪽을 따로 보기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