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실감의 무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명확하다. 샌안드레아스 단층 때문이다. 태평양판과 북미 대륙판이 맞부딪쳐 만들어진 샌안드레아스 단층은 지금도 활발히 움직이며 지진의 불씨를 지피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는 1400여 명의 인명 피해를 낸 1906년 샌프란시스코 대지진의 경험을 잊지 않았다. 이런 게 실감의 무게다 ... ...
- [과학뉴스] 아버지가 우울하면 10대 자식도 우울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아이들이 얼마나 우울증 증세를 나타내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우울증 정도가 상위 15.8% 안에 드는 아버지의 청소년 자녀들이 그렇지 않은 아버지의 자녀들보다 우울증 유무를 알아볼 수 있는 단기 기분 설문검사(SMFQ)의 우울증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의 제1저자인 젬마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통해 감염되며, 갑작스러운 쇼크, 혼수 등의 증세를 보인다. 치료하지 않으면 2~3일 안에 몸 전체가 까맣게 변하며 사망에 이른다. 폐 페스트는 에어로졸 형태로 공기를 떠 다니다가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며, 폐렴, 고열 등의 증세를 보이다 사망한다. 치료하지 않을 경우 치사율은 90%에 이른다.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시스템으로 꾸준히 감시하는 게 좋대. 펭귄 보호용 연구 필요수십 년 동안 많은 학자들이 우리를 연구했지만, 아직 궁금한 게 많은가 봐. 과학자들과 같이 지내보니까, 그래도 우리들이 살아가는 모습에 대해 많은 부분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고 있더라고. 다만 전에는 예측밖에 할 수 없었던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방패는 센서 노드 간에 보안키를 설정해 만들고, 창은 보안키를 해킹하면 가능합니다. 보안키를 해킹하려는 사람과 지키려는 사람의 숨 막히는 대결, 정말 기대되지 않나요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사라지면 향후 100군체가 사라지는 꼴이 된다. 동 씨는 “실제로 사람 손을 탄 곳과 안 탄 곳에서 볼 수있는 개미 종류나 개체 수가 확실히 다르다”고 말했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 동 씨에게서 메시지가 도착했다. 커다란 바위를 찍은 사진과, 그 바위 한 켠의 조각을 들어내고 발견한 개미의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기상청 슈퍼컴퓨터와 비교하면 연산 속도가 약 50% 수준이며,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 500위 안에 3번이나 등재됐다. 20년 가까이 단백질을 연구하면서 장 교수는 뇌 조직에 찌꺼기처럼 쌓여서 치매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는지를 밝히는 등 중요한 연구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국산 캐릭터인 둘리나 로봇 태권 V를 장난감 가게에서 볼 수는 없잖아요. 꼭 오랫동안 사랑받는 국산 장난감 캐릭터가 나왔으면 좋겠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자의 취미는 장난감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 ...
- 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설명하시는 경우도 많았지요. 하하. 그로텐디크 교수님은 큰 그림도 볼 수 있지만, 그 안에서 깊이 탐구해야 할 중요한 내용을 찾아서 아주 깊이 연구할 줄도 아는 완벽한 수학자였습니다. 그로텐디크의 노트를 온라인에 공개한 이유는 무엇인가요?마랭: 많은 사람에게 알려지지 않은 그로텐디크의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방법은 오직 15가지뿐이라는 걸 증명했다고 밝혔습니다. 증명은 라이스가 고안한 아이디어에서 시작해 모든 가능한 경우를 다 조사하는 식으로 이뤄졌습니다. 약 5000줄 정도의 C++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컴퓨터로 증명했지요. 컴퓨터의 도움을 받지 않고 이 증명을 할 수 있는지는 아직 모릅니다. 더 ... ...
이전2982993003013023033043053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