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3,701건 검색되었습니다.
4. 남·녀 성결정의 열쇠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199412
수백만개의 원초적인 소난포들을 갖게 된다. 이 원초적인 소난포들이 자라서 성숙한 난자
세포
가 되는 것이다.1980년 연구결과에 따르면 임신이 성립된 뒤 수정란의 Y 염색체 속에 정소결정인자(testis determining factor)가 있으면 고환이 생겨 태아가 남성으로, 정소결정인자가 없으면 난소를 발달시켜 ... ...
휴대용 전화도 전자파 피해 파문
과학동아
l
199412
전자파의 영향을 특히 받기 쉬운 것은 뇌 등 신경
세포
나 태아, 암 등 성장과정에 있는
세포
로, 매우 약한 전자파라도 오랜 시간 쬐면 그 영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어느 정도의 전자파를 얼마나 오래 쬐면 어떤 영향이 나타나는가는 아직 확실치 않다 ... ...
포항 방사광가속기 지상공개
과학동아
l
199412
모습을 관찰할 수 없는 것이다.방사광의 등장은 일거에 X선현미경의 위치를 회복시켰다.
세포
와 같은 생물 조직체에 전혀 손상을 가하지 않고도 자연 그대로의 고분해능 영상의 획득이 가능해진 것이다. 1㎜보다 작은 시료의 내부 입체영상을 생생하게 들여다볼 수 있고, 결정체의 결함과 왜곡상태를 ... ...
생물 - 식물의 호르몬, 꽃눈 형성·생장 촉진한다
과학동아
l
199412
세포
벽을 신장시킴으로써 길이 생장을 촉진한다. 또 옥신은 곁눈의 생장을 억제하고
세포
의 생장이나 분열을 촉진하기도 하며, 발근을 촉진하고 낙엽이나 낙과를 방지하는 등 여러가지 생리 작용을 한다.귀리(Avena sativa) 자엽초의 생장 부분은 끝에서 3-7㎜ 떨어진 부분인데, 끝에서 합성되어 아래로 ... ...
2. 성은 왜 암·수 둘 뿐인가
과학동아
l
199412
만약 더 많은 성이 있다면 삶이 너무 복잡해지기 때문이다.생식과정에서 발생하는
세포
내 유전적 갈등은 모체의 자궁에서 자라는 태아에서도 발견된다. 태아에서 하나가 된 부계 유전자와 모계 유전자는 본래 서로 관심이 다르다. 부계 유전자는 태아의 성장을 최적화함으로써 자신의 유전자를 많이 ... ...
3. 짝짓기 선택 암컷의 특권이라는데…
과학동아
l
199412
않는 수컷은 가능한 많은 짝을 얻는 진화적 기간에 최선을 다한다. 한편 훨씬 적은 성
세포
를 생산하고 임신을 하며 항상 자식을 키워야하는 암컷은 가장 좋은 수컷을 고르기 위해 까다로워진다는 것이다.진화이론가들은 암컷의 선택을 두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그 하나는 위에서 나왔던 고삐풀린 ... ...
암치료용 양성자 가속기
과학동아
l
199412
신체의 조직 속 약 20-3O㎝ 깊이에서 방사선량이 대부분을
세포
에 작용시키기 때문에 암
세포
에 대한 방사선 집중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동시에 주위의 정상조직에 주는 피해가 다른 경우보다 현저히 낮다. 양성자뿐 아니라 이보다 무거운 탄소나 네온 원자를 이용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412
손에 수없이 많이 달려있는 미세한 장치로 주사(走査)한다. 주사하는 순간마다 뇌의 신경
세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가 기록된다.로봇의사는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뇌 조직의 각 층이 보여주는 행동을 본뜬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이 프로그램은 즉시 당신 옆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 ...
유전병 유무 수정란 상태서 판별
과학동아
l
199411
같은 실험을 수십년간 해왔지만 아무 일 없었다. 수정란을 냉동했다가 해동할 때도
세포
의 하나나 둘 정도는 파괴되지만 아무 문제 없다. 난자는 생각보다 튼튼하다"는게 이 연구소 수잔 블랙 박사의 말.처음 이 기술은 1992년 영국의 병원에서 기관지 등의 점막에서 점액분비 이상을 일으키는 병의 ... ...
돼지의 장기이식 연구 큰 성과
과학동아
l
199411
발현시키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혈구표면에 발현시키는 것보다 장기 자체의 혈관내피
세포
에 발현시키는 쪽이 보체제어단백의 발현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다음 실험에서는 이 방법이 시도 될 예정이다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