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돈의 흐름' 쫓는다
과학동아
l
200711
함께 공부하며 ‘실전감각’을 익혔다.“나중에 알고 보니 10주 동안 배운 내용이 금융
대학
원의 한 학기 강의 분량이더군요. 짧은 시간에 다루기엔 벅찬 분량이었는데 강의가 알차게 준비돼 있는데다 실습도 함께 해 내용을 따라가기 쉬웠습니다.”교육과정을 마친 뒤 그는 KAIST 금융공학연구센터에 ... ...
2세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과학동아
l
200711
아니다.2004년 하버드
대학
생 사이의 SNS로 출발한 페이스북은 순식간에 미국 전역의
대학
으로 확대됐다. 여기에 고교생, 직장인까지 가담하면서 파죽지세로 성장해 회원이 4천만명을 넘어섰다. 페이스북이 마이스페이스를 따돌리는 것은 이제 시간문제. 마이스페이스가 단순히 ‘노는’ 공간인 반면 ... ...
PART1 투표는 이성보다 감정이 우세?
과학동아
l
200711
미국과 뉴질랜드, 영국에서 있었던 여덟 번의 실제 선거에 출마한 후보의 얼굴과 10개
대학
학생들의 평균적인 얼굴을 컴퓨터모핑기술로 합성했다. 여기엔 물론 2004년 미국 대선후보였던 조지 W. 부시와 존 케리도 있었다. 합성으로 탄생한 얼굴은 원래 누구였는지 구분하지 못할 만큼 젊어졌지만, ... ...
상상이 현실로~ 얍! 가상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
가상현실은…‘같기도’다. 가짜도 아니고 진짜도 아녀!‘해리포터’다. 상상이 곧 현실! 윙가르디움 레비오우사!‘파리의 연인’이다. 가상현실 안에 현실 있다!‘벼룩시장’이다. 없는 거 빼고 다 있다~! ...
PART1. 세컨드라이프가 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
왔다고 했던 거 기억 나?
대학
교나 학원의 사이버 강의는 대표적인 예지. 한국에서는 배재
대학
교의 식물학 강의가 활발하다고 하더군.또 IBM은 세컨드라이프에 회사를 세우고, 그 안에서 신입사원 교육이나 발표 등을 하고 있어. 아디다스는 세컨드라이프에 매장을 열었고, 미국 대선 후보인 힐러리 ... ...
암흑물질 증거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
이뤄진 지름 260만 광년의 고리를 찾아 냈다고 발표했어요. 지 박사는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교에서 연구하고 있어요. 이 고리는 빛이 나지는 않지만 중력이 커서 빛이 고리 옆을 지나갈 때 휜다고 해요. 이 고리는 60억~70억 년 전쯤 은하단 두 개가 부딪히면서 만들어졌어요.*은하단 : 은하 수백 개가 ... ...
독감 접근 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
막는 옷이 개발됐어요. 미국 코넬
대학
교 과학자와 디자이너가 만든 옷이에요.이 옷은 바이러스와 세균을 잡아 내는 *나노 입자가 살짝 덧입혀 있어요. 나노 입자가 이 옷을 입고 있는 사람에게 다가오는 독감 바이러스 등 해로운 병원체를 잡아 내죠. 몸에 해로운 물질도 붙잡기 때문에 목과 입을 ... ...
햇볕 쬐면 하루가 길어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
길어져 그 만큼 하루가 길어진 것처럼 느끼는 거예요.미국 하버드
대학
교와 콜로라도
대학
교의 과학자들은 12명의 사람들에게 햇볕을 쬐게 했어요. 한낮에 45분 동안 햇볕을 받게 했죠. 그 결과 사람들의 신체리듬이 평균 24.2시간에서 25시간으로 늘어났어요. 한 시간 더 책을 읽거나 파티에서 놀 수 ... ...
효과 없는 모차르트 효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
결론은 음악이 아이들의 IQ를 높인다는 주장을 증명할 수 없었다는 거예요. 독일 흄볼트
대학
교의 랄프 슈마허 교수는 “모차르트 효과가 나타났다는 기존 연구 결과는 우리가 한 같은 실험에서 다시 나타나지 않았으며 20분 이상 지속되는 모차르트 효과도 찾을 수 없었다”고 말했어요. 다른 음악도 ... ...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
과학동아
l
200710
스탠퍼드대의 밥 트윅스 교수가 처음 제안했다. 심포지엄에 참여한 미국과 일본의 12개
대학
연구팀이 각각 1년 동안 컴퓨터회로와 카메라렌즈, 그리고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와 전원장치를 빈 캔에 눌러 담아 인공위성을 만든 뒤 다음 심포지엄에서 결과를 발표하고 우주로 발사하자는 내용이었다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