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스페셜
"
연구소
"(으)로 총 3,30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물의 기원(The Origin of Water on Earth)’라는 제목의 논문이 실렸다. 저자인 프랑스 국립과학
연구소
프랑수아 로베르 박사의 설명에 따르면 인터스텔라, 즉 성간우주에 있는 얼음의 D/H비율이 최대 0.01까지로 추정하고 있다. 반면 수소분자의 D/H비율은 이보다 훨씬 낮은 수치다. 46억 년 전 태양성운이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로봇이 떠나는 날 환송회까지 열어줬다고 한다. 그리고 한 달 뒤에는 로보비를 보려고
연구소
를 방문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노인들이 왜 진짜 사람과는 전혀 닮지도 않은 로보비에 이처럼 애착을 보이는 것일까. 노인들의 대답을 보자. 먼저 로봇은 말대꾸를 하지 않는다. 어쩌다 한 번 찾아오는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초대칭입자를 찾는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2008년 가동에 들어간 유럽입자물리
연구소
(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가 초대칭입자 사냥에는 실패했지만 힉스입자 검출에 성공하면서 초대칭입자를 검출할 수 있는 더 큰 규모의 가속기(둘레 100km에 이르는) 건설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그러나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되는 것이다. 그런데 아이디어에 가까이 접할 수 있는 신기술을 다루는 곳은 대학교나
연구소
였다. 당시의 대학이 선망의 대상이 된 것은 부자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산업혁명 이후 기술자가 육체노동자보다 우대받은 것도 그런 맥락이다. 그러나 뢴트겐은 과학의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주장했다. 말러는 1966년 록펠러대로 자리를 옮겼고 1972년 부설 생태학/동물행동학현장
연구소
초대 소장을 맡기도 했다. 1989년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로 자리를 옮긴 말러는 1994년 은퇴했다. 10. 마틴 펄 (1927. 6.24 ~ 2014. 9.30) 기본입자인 타우렙톤을 발견한 물리학자 마틴 펄. - Linda Cicero ...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업무협약 체결
동아사이언스
l
2014.12.23
방안들을 모색하고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다. 양 기관은 지난 11월에 실시한 기업
연구소
대상의 기술수요조사의 결과에 대한 기술매칭을 완료하였으며, 업무협약 체결 후 기업방문 및 기업-특허보유자 간 상담 등 기술이전 및 사업화와 관련한 지원을 추진할 예정이다. 산기협 김이환 부회장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신경가소성 등이 발견되면서 힘을 얻고 있다고 한다. 1981년 스스로 만든 ‘신경과학
연구소
’에서 일하며 에델만은 대중을 위한 뇌과학 교양과학도서도 여러 권 썼다. 이 가운데 ‘뇌는 하늘보다 넓다’ 등 세 권이 우리글로 번역돼 있다. ... ...
친환경 타운의 미래지향적 모델 제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2.19
활용하고 있다”며 “계간 축열 시스템에 대한 실증 데이터를 많이 확보하고 있는 독일
연구소
솔리테스(SOLITES)에 기술 용역을 준 상태”라고 밝혔다. 그는 또 “지난 7월 1일부터 1년 6개월간 기술 자문을 받는데, 실무 경험이 많은 솔리테스 측은 먼저 우리 설계를 바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한 ... ...
오스트리아와 스웨덴에서 ‘체감’과 ‘지속성’ 배운다
2014.12.19
주민이 주주로 돼 있는 협동조합이다.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이를 연구하는 기관이나
연구소
가 수시로 방문하고 있으며, 국제 공동연구도 진행 중이다.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신기술과 모델은 다시 수출된다고 하니, 부, 명성, 기술의 모든 측면에서 선순환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귀싱의 혁명은 아주 ... ...
과학계 '그랜드 슬램' 뒤에는 그가 있었다
IBS
l
2014.12.16
조금의 실수로 식물이 잘 못 자라면 연구에 사용할 수 없어서 굉장히 공이 들어간다.
연구소
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애기장대'의 경우 본래 야생초이던 것을 양식하다 보니 오히려 더 민감해졌다. 당연히 재배에 더 많이 신경을 써야 한다. 특히 이러한 연구용 식물 재배는 기존 문헌을 찾기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