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체중이라면...체중 1kg당 수명 ○개월 줄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13
조절
하도록 하는 유전자와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유전자입니다. 혈중 콜레스테롤
조절
유전자가 잘 작동하지 않는 사람은 평균 수명이 8개월 짧았고, 면역 체계 강화 유전자가 잘 작동하는 사람은 평균 수명이 반 년 정도 더 길었습니다. 짐 윌슨 영국 에딘버러대 교수는 “빅데이터와 유전학의 ... ...
3D 프린터로 자전거 넘어 자동차 만든다, 유니스트 김남훈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7.10.13
여러 재료를 혼합해 한 번에 인쇄할 수도 있어, 제품 각 부위의 특징에 맞게 무르기를
조절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의 몸체와 버튼을 동시에 인쇄할 수 있다는 말이다. 유니스트에는 방 두 개를 가득 메우는 크기의 3D 프린터 설비가 구비돼 있다. - 염지현 제공 김 교수가 만든 자동차는 ... ...
자유자재로 변신하는 ‘트랜스포머 전기자전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10.10
전기를 끌어와 동력을 얻는다. 무엇보다 개발된 자전거는 필요에 따라 차체 길이를
조절
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주행용으로 혼자 타는 ‘퍼스널’이 일행이 있을 때 이인용 자전거인 ‘듀얼’ 모드로 변신한다. 또 1~3세 영아를 태우는 ‘베이비’ 모드와 3세 이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적이 없는 것 같았다. 지구의 자전, 즉 낮과 밤의 24시간 주기에 맞춰 몸이 리듬을 타게
조절
하는 생체시계는 대중에게도 너무나 익숙하다. 수면장애나 비만, 암 발생 위험성 등 생체시계 교란과 관련된 건강 문제가 부각된 지도 오래다. 따라서 생체시계 분야의 개척자들이 10년 전에 노벨상을 ... ...
두리안 ‘똥 냄새’의 비밀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10
만들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식물의 냄새는 휘발성유기화합물(냄새분자)의 발생을
조절
하는 유전자 ‘MGL’에 의해 결정된다. 면은 2개의 MGL 유전자를 가진 반면 두리안은 4개를 가졌다. 이 과정에서 면에겐 없던 고약한 냄새를 내뿜는 능력이 생겨났단 것이다. 두리안에게만 있는 유전자 ‘MGLb’는 ... ...
본지 기자 리얼 제모 체험기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
동아사이언스
l
2017.10.08
다르지만 600~900nm 파장대의 레이저를 사용한다”며 “환자의 통증 정도에 따라 파장을
조절
하며 시술한다”고 말했다. 제모를 받기 전인 작년 11월에 촬영한 사진(왼쪽)과 7차례 레이저 제모 시술을 받고 난 뒤 최근 사진(오른쪽). 입술 주변의 털은 크게 줄어들지 않았지만 볼에 있던 털은 거의 ... ...
하품 전염되는 이유, 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2017.10.07
가하면 하품 충동이 커졌다. 이는 운동 피질의 흥분과 억제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하품이
조절
된다는 뜻이다. 잭슨 교수는 “운동 피질의 흥분을 억제할 수 있다면, 투렛증후군(틱장애) 같은 질병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 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9월 11일자에 실렸다. doi:10 ... ...
[카드뉴스] 우울할 땐 암산이 약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06
하면서 fMRI(기능성자기공명영상)를 찍어 뇌의 활동을 관찰했는데요. 그 결과 뇌에서 감정
조절
을 담당하는 전전두엽 피질이 활성화 됐습니다. 전전두엽 피질이 반응하지 않으면 우울한 감정을 느낍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자기장으로 이 부분을 자극하여 우울증을 치료하기도 합니다. “이번 연구 ... ...
비만과 지방간 ‘유전적 치료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7.10.06
연구로 비만
조절
에 관여하는 대사 과정이 확인된 셈이다. 백 교수는 “RORα 수용체를
조절
하면 비만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전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doi:10.1038/s41467-017-00215- ... ...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
과학동아
l
2017.10.06
실제 안과에서 자주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아트로핀 점안 치료가 있다. 수정체와 모양체
조절
을 마비시키는 안약을 매일 한 방울씩 눈에 넣는 방법이다. 치료를 받는 중에는 눈이 부실 수 있고, 무엇보다 사물이 잘 안 보이는 단점이 있지만 비교적 적은 부작용으로 근시가 진행되는 속도를 늦출 수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