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뉴스
"
김
"(으)로 총 3,595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 노벨 물리학상] ‘유령입자’ 질량 입증한 과학자 2명 수상
2015.10.06
수상의 영예를 안았지만 ‘절대 질량’은 밝혀지지 않는 등 여전히 미스터리 입자다.
김
교수는 “중성미자 3종류 중 어떤 게 가장 무거운지 밝혀내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에게는 총 800만 크로나(약 11억2200만 원)의 상금과 메달, 상장이 주어지며, 상금은 ... ...
미분방정식으로 60년 생물학 난제 풀었다
2015.10.06
사실로 확인됐다. 이 대학원은 미국 듀크대와 싱가포르국립대가 공동운영한다.
김
교수는 “인산화 스위치를 조절하는 물질을 개발한다면 야간 근무나 잦은 해외 출장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생체시계 이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셀’ 자매지 ‘멀레큘러 ... ...
정신지체 유전 질환 ‘취약 X 증후군’ 유전자 교정 첫 성공
2015.10.04
단백질로 발현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CpG섬)에서 탈메틸화가 일어났다.
김
교수는 “질병 원인 유전자인 FMR1를 어떻게 켜고 끄는지 원리를 밝혀낸 것이 이번 연구의 성과”라며 “취약 X 증후군의 치료법 연구에 큰 단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저널 ‘셀 ... ...
아이폰 ‘뽑기’ 논란, 2nm 차이는 성능에서 얼마나 차이 나나
2015.10.04
조건이 동일하다면 회로선폭이 좁은 AP칩이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빨리 처리할 수 있다.
김
교수는 “회로선폭이 좁아질수록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가 이동하는 거리가 짧아져 일반적으로 데이터 처리 속도도 빨라진다”고 말했다. ... ...
복잡한 림프절, 광음향으로 꿰뚫어본다
2015.10.01
포스텍 제공 우리 몸에 이상이 생기면 몸 속 전체에 퍼져 있는 면역기관인 림프절이 부풀어 오른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일어나는 면역 반응 때문이다. 림 ... 860nm 두 가지를 동시에 활용하여 살아있는 쥐의 림프절을 광음향 영상으로 촬영했다. -
김
철홍 포항공대 교수 제공 ... ...
먹어도, 먹어도 배가 고파요
2015.09.30
작동하지 않자 배가 부른 상태를 인식할 수 없게 되고 계속 먹는 상태가 지속된 것이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사람의 CaMKI 유전자 대사조절 관련 기능 또한 규명할 수 있었다”며 “비만, 당뇨 등 대사질환 원인 유전자 발견 및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피알리 생굽타 미국 ... ...
공포 기억 조절 가까웠다
2015.09.29
장기 시냅스 저하가 나타나 강한 공포 반응이 나오지 않게 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김
교수는 “공포 기억이 떠오르는 메커니즘을 밝힌 만큼 관련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신경과학 전문지 ‘뉴런’ 24일자에 실렸다. ... ...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
과학동아
l
2015.09.28
교수는 질투가 인간의 유일한 본성은 아니므로 좌절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김
교수는 “사람은 악하고 선한 본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며 “만 2세 미만의 어린 아이도 다른 사람에게 자기 음식을 줄 때 기쁨을 느낀다거나 자기보다 다른 사람을 위해 돈을 쓸 때 더 큰 행복감을 느낀다는 연구 ... ...
어과동 사랑꾼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26
얼마 전에 기사로 소개된 적이 있어요. 올해 6월 1일자 기획 기사 에 ‘
김
서림 걱정 없는 안경’이 제가 개발한 기술이지요. 요즘엔 3D 프린팅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 있어요. ○ 문유현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 언주초등학교 1학년 문유현입니다. 를 하루에도 몇 ... ...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09.26
제목으로 곤충학 논문을 발표한 학자이기도 하다. ‘조복성 곤충기’, ‘파브르 곤충기(
김
진일 완역)’의 맥을 이어 3대째에서 ‘정부희 곤충기’가 탄생한 셈이다. 우연은 없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10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