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재"(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홀의 결혼정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공간에 대해서도 같은 식의 정리를 증명했습니다. 이때 d=1이면 홀의 결혼정리이지요. 현재까지 이 증명은 위상수학을 이용한 것만 알려져 있습니다.이번 정리에서 함수 g가 작을수록 더 좋은 정리가 됩니다. 아직까지 더 좋은 함수 g가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여러분도 한번 시도해 보면 ... ...
- [재미] 개는 늑대의 후손?!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분석해, 이와 다른 연구 결과를 밝혀냈어요. 중앙아시아 지역에 살던 고대 늑대가 현재 개와 늑대의 공통조상이며, 약 1만 5000년 전 쯤 10여 종의 개로 진화했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해 11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지요.미국 코넬대 유전학자인 애덤 보이코 박사 연구팀은 여러 대륙에 ... ...
- 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장과 신장, 간, 전립선, 유방 등 우리 몸의 대부분의 장기가 오가노이드로 만들어지는 등 현재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어요.달걀이 동물실험을 대신한다과학자들은 오가노이드 외에도 동물실험을 대신할 새로운 방법을 고민하고 있어요. 새로운 방법 중 하나로 ‘HETCAM’이 있어요. 이 방법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한밤중에 벌어진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연구팀은 이 신종 개구리에 ‘리모넥티스 라배파투스’라는 학명을 붙였어요. 현재 체내수정을 하는 개구리는 10여 종 정도로 알려졌어요.한편, 체외수정을 하는 개구리 중에는 특이하게 새끼를 키우는 개구리들이 있어요. 보통 알에서 올챙이가 깨어나면 알아서 포식자를 피하며 살아남아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유럽의 중력파 천문대인 버고(VIRGO)와함께 삼중 동시관측을 수행하는 게 주 임무였다. 현재보다 감도가 낮았기에, 중력파 검출확률은 아무리 낙관적으로 잡아도 1만 년에 2~3개꼴이었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여섯 차례 관측가동을 했지만 중력파를 검출하지 못하고 종료됐다. 민감도를 높여 ... ...
- [Tech & Fun] 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➌ 오크리지 국립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오크리지 리더십 컴퓨팅 시설(OLCF)은 5년마다 새로운 슈퍼컴퓨터를 세상에 내놓는다. 현재도 IBM, 인텔 등과 함께 타이탄의 후속 슈퍼컴퓨터인 ‘서밋(Summit)’을 개발하고 있다. 서밋의 목표는 150∼300페타플롭이다. 2018년 최종 개발을 목표로 소프트웨어를 담당하는 ORNL 연구원과 하드웨어를 담당하는 ...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경우도 씨앗이 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최대한 시드값이 중복되지 않도록 현재 시각을 초 단위까지 나타낸 수를 씨앗으로 이용한다. 그럼에도 완전한 무작위 수는 만들어 낼 수 없다.또 다른 문제는 시행횟수가 너무 적다는 점이다. 컴퓨터로 알고리즘을 만들 때 사용하는 함수는 확률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먹잇감이었을 거예요.약 10m 크기의 조반류나 수각류 공룡이 낳은 알의 지름은 약 14~15cm로 현재의 타조알만 해요. 달걀 25개 분의 크기지요. 조반류들은 보통 둥지에 알을 낳고 지푸라기로 덮어 보온해 부화시켰기 때문에 어미가 자리를 비운 사이 알을 몰래 가져올 수 있을 거예요.많은 사람이 먹을 ... ...
- [News & Issue] ‘알파벳’이 알려주는 약 제때 먹는 법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측정용 스마트 콘택트렌즈와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현재 구글과 세계적인 제약회사인 노바티스가 공동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가깝게는 300km, 멀게는 8만km 떨어진 거리에서 30시간에 한 바퀴씩 돌았겠지만, 현재(2016년 1월)는 가장 가까울 때 1만km, 멀 때는 약 37만km까지 떨어진 거리에서 10일 14시간에 한 바퀴씩 돈다(궤도는 아직 수정 중이다). 즉, 금성을 고해상도로 관측할 수 없다. 연료가 넉넉하지 않아 관측할 수 있는 ... ...
이전2972982993003013023033043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