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즈음
최신
근간
요사이
근래
근대
요즘
d라이브러리
"
최근
"(으)로 총 11,532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규모로 작게 만들었다. 서로 옆자리에서 밥을 먹고 대화를 나누게 하기 위한 전략이란다(
최근
완공된 식당 사진을 참고하면 최소 6가지 메뉴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1층에는 연구원들과 지역 주민의 편의를 위해 450m2 규모의 스포츠센터와 대중강연장도 무료로 개방한다. 정기적으로 ‘크릭 챗 ... ...
[Career]도전! 유니스트 12 ‘촉매’처럼 사람들을 이어주는 연구자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김건태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를 만나기 전에도 그런 마음이 조금은 있었다.
최근
에 연달아 좋은 성과를 내서 연구 의욕도 조금 떨어져 있지는 않을까. 그래서 정상적인 인터뷰라면 마지막쯤에 할 질문인, 앞으로의 계획을 먼저 물었다.연구에 앞서 ‘친화력’ 키워“구체적인 계획은 딱히 ... ...
[과학뉴스]멍멍! 세계 최초의 시험관 개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최근
미국 코넬대학교 알렉산더 트래비스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강아지를 체외 수정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체외 수정은 신체 밖에서 난자와 정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뜻해요. 개의 경우 체외 수정 실험은 실패를 거듭해왔지요. 수정이 이루어지려면 난자가 필요한데, 많은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기지국과 이동전화교환국을 거쳐 상대방의 휴대 전화로 전달되는 원리지요.그런데
최근
에는 시계나 안경과 같은 액세서리로 전화를 할 수 있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도 개발되고 있어요. 다양한 스마트 웨어러블 중에서 스마트 워치가 가장 먼저 상용화 됐지요.8비트 컴퓨터 VS 64비트 컴퓨터198 ... ...
지능을 높이고 유지하는 방법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받으면 지능이 높아지고, 그렇게 높아진 지능은 지속된다고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와 정반대인 연구 결과가 지능 및 정신과학 학술지인 ‘인텔리전스’ 12월호에 실렸습니다.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심리학 및 뇌과학과 존 프로츠코 박사는 학습 환경과 지능 사이의 상관관계를 ... ...
[News & Issue]왜소행성 세레스, 혜성처럼 행동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위치한 왜소행성 세레스에서
최근
혜성의 특징이 발견돼 과학자들이 일대 혼란에 빠졌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던(Dawn) 탐사선은 2015년 3월 세레스에서 주위보다 밝게 빛나는 부분을 130군데 이상 발견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팀은 이 밝은 부분을 분석한 결과 ‘소금기가 있는 얼음’이 ... ...
[소프트웨어]아직도 숫자 세니? IT기술과 만난 신개념 줄넘기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과장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같이 개발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결과”라고 말했다.
최근
에는 운동제품과 관련된 웨어러블 기기가 많다. 보통 웨어러블 기기는 사람이 움직이는 패턴을 분석해서 기록을 한다. 그러면 정확한 움직임을 포착할 수 없다. 실제로 줄넘기를 하지 않고 비슷하게만 ... ...
[News & Issue]추워도 좀 참자, 살 빠지니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장내미생물은 식이 등 환경 조건에 따라 조성이 달라진다.
최근
스위스의 한 연구팀이 추위가 장내미생물의 조성을 바꿔 체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스위스 제네바대 미르코 트라이코프스키 교수팀은 실험을 통해 쥐를 10일 동안 6℃의 추운 환경에 ... ...
[News & Issue]조류 발성도 ‘공기 반, 소리 반’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완전히 다른 발성기관을 갖고 있어 소리를 내는 방법도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최근
이런 상식을 뒤집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덴마크 남덴마크대 코엔 엘레만스 교수팀은 새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근탄성 공기역학 이론’에 의해 소리를 낸다고 밝혔다. 근탄성 공기역학 이론은 폐에서 나온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붉은털원숭이 등 영장류의 DNA도 해독했다. 2015년 해독이 끝난 붉은털원숭이가 가장
최근
의 연구 성과다. 미국 베일러 의대 리처드 깁스 박사 연구팀은 “붉은털 원숭이와 인간이 93%의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다”고 ‘사이언스’ 2015년 4월 13일자에 발표했다. 때문에 붉은털원숭이는 본의 아니게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