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화의 세계를 구하라! 퍼시 잭슨과 괴물의 바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해서 함정에 빠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탈출할 수 없는 미로라는 걸 미리 알 수는 없을까? ‘조르당 곡선 정리’란 수학 이론에 주목해 보자. 먼저, 원을 하나 그려보자. 원은 시작점과 도착점이 같은 도형이다. 이렇게 시작점과 도착점이 같은 도형을 ‘닫힌 곡선’이라고 부른다. 이제 ... ...
- [생활] 명탐정 셜록 홈즈의 추리 비결은? 통계적 추정수학동아 l2013년 09호
- 할 목표를 설정한다.중간고사에서 평균 점수 90점 이상이라고 설정한다.측정문제 요인을 알아내기 위해 다양한 측정을 한다.스마트폰 사용시간, 게임하는 시간, 공부하는 시간, 학습 능력 등을 측정한다.분석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문제 요인을 밝혀낸다.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길다.개선목표를 ... ...
- 좌로 돌리고 우로 돌리고 그러면 시력이 좋아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다루고 있는 책 같았습니다. 같은 책인데 제목만 다른 건지, 같은 저자의 다른 책인지는 알 수 없었습니다. 중요한 건 이 책이 나온 연도입니다. 1940년이더군요.그렇습니다. 페퍼드 박사는 무려 70여년 전에 활동했던 의사였습니다. 이 이론도 최소한 그 정도 나이는 먹었다는 뜻이지요. 저자 소개에 이 ... ...
- 가을 바람 부르는 매미의 물리학 (마지막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매미는 이름의 유래를 알 수 있는데, 호좀매미의 ‘호좀’은 뜻이 정확히 알려져 있지않다. 호좀매미는 7월 말부터 10월 중순까지 볼 수 있다. 관찰하기 가장 좋은 시기는 9월이다. 8월에도 호좀매미 소리가 꽤 들리지만 참매미, 애매미 등 소리가 더 큰 매미 때문에 잘 들리지 않을 수 있다.전국적으로 ... ...
- 요리 속에 과학이 쏙, 문화가 쏙쏙! 내 짝의 도시락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내가 싸온 도시락 속 공통점을 찾으며 친해질 수 있었어. 그리고 또 한 가지 사실도 알았지. 이 친구들과 내가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를 이해하고 차이점을 멋지게 융합할 때 훨씬 좋은 문화가 나온다는 거야! 이 김치 타코처럼 말이지! 이제 나도 편협한 생각을 깨고, 다문화가정 친구들과 더 ... ...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벤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벤 다이어그램이란, 집합의 포함관계를 쉽게 알 수 있도록 그린 그림으로, 영국의 수학자 존 벤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집합의 포함관계를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낼 때 두 개의 원을 이용한다.따라서 아래의 그림과 같이 교집합이 있는 ... ...
- [수학실험실] 수학으로 빛나는 다이아몬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정팔각형을 기준으로 삼각형과 사각형 등 다양한 도형으로 구성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2에서는 조금 더 쉽게 만들기 위해 정삼각형과 마름모로 구성된 다이아몬드를 만들었지만, 사실은 실험1에서 살펴봤던 것처럼 모두 정삼각형과 마름모 형태는 아니다.사실 다이아몬드가 아름다운 빛을 ... ...
- [동아리탐방] 우리는 수학을 사랑하는 N.O.M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봉사활동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이런 활동이 아이들의 성장에 더 큰 도움이 된다는 걸 알게 됐어요. 교구를 발명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봉사하면서 의젓한 모습을 보이는 아이들을 보면서 저도 큰 감명을 받았답니다.수학 동아리 활동의 장점은 수학의 즐거움을 느끼는 것뿐만 아니라, ... ...
- 생면으로 요리한 봉골레 파스타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흡수해 팽창해요. 그래서 요리사들은 파스타 중심이 약간 설익어 씹히는 느낌이 드는 ‘알 덴테(al dente)’ 정도로 익혀요. 다 익은 파스타는 체로 걸러 넓적한 쟁반에 두고 올리브유를 둘러주어요. 면끼리 달라붙는 걸 막고, 물 밖에서 면을 서서히 익히기 위해서지요.완성한 파스타의 맛을 보았어요. ... ...
- 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N=3이면 리튬 원자 등으로 원자들의 성질이 고리의 수에 따라 어떻게 정해지는지 알 수 있다. 그러면 화학적 성질에 따라 원소들을 배열한 주기율표도 왜 그렇게 배열되어야 하는지 더 근본적인 원자모형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1913년에 헨리 모즐리가 만든 현대적인 주기율표는 ... ...
이전2972982993003013023033043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