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상
추측
가상
몽상
구상
팬시
허구
d라이브러리
"
상상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이는 대폭발이론이 없이 우주복사선이 존재할 수 없고 우주복사선이 없는 대폭발이론은
상상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왜 이런 관계가 정립돼 있는가하고 독자들은 질문할 것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우리는 밀폐된 공간의 부피가 줄어들 때 그 부피 안의 온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흔히 본다. ... ...
황천과 지상을 잇는 죽음의 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세계로 들어선다. 별의 이름을 익히는 이유는 나름대로 다양하리라. 별을 통해 인류의
상상
의 역사를 배우기도 하고, 계절이 바뀜에 따라 나타나는 하늘의 아름다움을 보는 즐거움을 갖기도 한다. 광대한 우주에 대한 그 감춰진 신비를 미약하나마 캐볼 수도 있다.긴 겨울밤 동안 여러분 모두의 ... ...
공룡시대 대탐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천5백만년전까지 1억수천만년 동안 「공룡시대」라는 부를 정도로 지구를 지배한 공룡들은 인간의
상상
을 훨씬 뛰어넘는 동물이었다. 지금까지 공룡만큼 번성하고 오랜 기간에 걸쳐 지구에 군림했던 생물군은 없었다. 인류가 출현하기 이전에 이미 지구에서 사라져 버린 공룡에 대해 우리가 알고 ... ...
(1) 공룡은 어떤 동물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와 같은 거대한 놈이 걸어갈 때는 땅이 울려서 마치 벼락을 치는 듯했을 것으로
상상
해서 벼락룡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몸이 육중해 행동이 느린 이와 같은 거대한 초식공룡이 육식공룡의 공격을 피할 길은 물속으로 들어가는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늪이나 깊은 호수같은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셈이다. 「인간의 생명설계도」그려질까?인간의 사고는 공간과 시간의 제약없이 무한한
상상
의 나래를 편다. 풍요의 꿈, 새처럼 날아가는 꿈, 달나라에 계수나무를 심는 꿈, 바다에 왕국을 건설하는 꿈, 생명의 신비를 탐구하는 꿈….이러한 꿈들은 한낱 허상으로 끝나지 않고 체계적인 인간사고의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위한 태동일 수도 있다고 믿고 있다. 왜냐하면 인류역사를 돌이켜볼 때, 그 누구도
상상
하지 못했던 새로운 생각들이 한계를 돌파해 왔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아직 반도체기술의 미개척 영역은 많이 남아 있다. 특히 광소자 양자소자 분자소자 마이크로머시닝 등은 반도체산업의 지평을 ... ...
오존층 파괴 현상 날로 심각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정도의 미량(소수점 아래 일곱자리까지 가는 %에 불과). 그렇지만 오존의 역할은 우리가
상상
하는 것 이상이다.우선 대류권(약 15㎞ 상공 이내)에 전체 오존량의 10% 가 존재한다. 지표면에 가까운 대류권의 오존량은 적을수록 좋다. 그 이유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체에, 특히 호흡기관에 좋지 ... ...
퀘이사와 전파은하는 동일한 천체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새로운 종류의 천체현상인 감마선 퀘이사를 15개 발견했다."그렇게 밝은 것은 아무도
상상
하지 못했다." 그 관측 프로젝트에 속한 게렐즈 박사의 말이다. "이 관측들은 통일이론에 유력한 증거가 될 것이다."표준모델에 따르면 시그너스 A와 같은 강한 전파은하의 제트가 지구쪽으로 방출되고 그 핵이 ... ...
촉매 건조제 이온교환제로 유망한 신비의 「끓는돌」 제올라이트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수백종에 달하는 것을 생각하면 다른 원소들을 골격에 넣은 것의 수는 앞으로
상상
할 수 없을 만큼 늘어날 것이다. 실제로 1990년대에는 이들의 새로운 공업적 용도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알루미늄과 규소골격을 갖추지 않은 것은 제올라이트라 부르지 않고 한 단계 상위의 표현인 ... ...
1 세계 입자물리 실험의 총본산 CERN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것이다. 17세기에 처음 개발된 광학현미경(optical microscope)은 인간에게 눈으로 볼 수 없고
상상
할 수도 없었던 황홀함과 미세함으로 가득한 새로운 세계를 선사했다.현미경의 분해능은 사용되는 광선(빛)의 파장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므로 물체의 내부를 더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선 더욱 파장이 짧은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